청와대가 31일 부산저축은행 사건과 관련,김대중 노무현 정권의 책임을 거론하며 정면 대응에 나섰다. 배수진을 친 양상이다.

민주당 주요 인사들이 청와대 핵심 인사들의 저축은행 비리 연루 의혹을 잇달아 제기한 데 대해 '불순한 정치적 계산'이 깔려 있다며 도의적,정치적 책임을 질 것을 촉구했다. 특히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지난해 야당 인사로부터 저축은행 관련 로비 시도가 있었다"고 압박했다. 민주당이 제기하고 있는 각종 의혹에 대해 제대로 대응하지 않으면 정권 말 레임덕에 빠지는 결정적 계기가 될 수 있고 내년 총선과 대선에서 불리하게 돌아갈 수 있다는 우려가 깔려 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브리핑에서 "저축은행은 과거부터 쭉 축적돼온 부실의 카르텔"이라며 "그런 부분에 대해 청와대와 감사원,금융당국이 사활을 걸고 메스를 대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 저축은행들이 역시 사활을 걸고 퇴출 저지에 나섰고 비리로 이어졌다는 게 청와대 관계자의 설명이다.

로비 시도 자체를 갖고 청와대 인사들이 비리에 연루됐다는 식으로 야당이 공격하는 것에 대해 청와대는 강하게 반박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2000년 초반부터 저축은행이 해온 과정을 보면 일정 부분까지 성공한 로비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로비가 성공했기 때문에 저축은행이 온전히 살아남았고,그게 부실 덩어리가 됐다는 얘기다. 현 정부에서 저축은행 부실을 바로잡으려고 나섰고 이 과정에서 로비를 뿌리쳤기 때문에 결국 실패한 로비가 된 것이라는 게 청와대의 주장이다.

로비 시도를 한 야당 인사와 관련,민주당 저축은행 진상조사위원장인 박지원 전 원내대표를 겨냥했다. 박 전 원내대표가 자신의 지역구인 전남 목포에 위치한 보해저축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을 조정하려고 청와대 등에 로비를 했다는 것이다. 청와대 일각에서는 이번 부산저축은행 사태와 관련, 과거 정권 인사와 커넥션 의혹도 제기한다. 각종 정보가 야당으로 흘러가고 있다는 게 청와대의 판단이다.

한 참모는 청와대 핵심 인사들의 저축은행 비리 연루 의혹을 제기한 박 전 원내대표와 이용섭 대변인,박선숙 의원을 거명하며 "어떤 식으로든 책임을 지라"고 요구했다.

한 참모는 "우리 측 인사의 (비리 사건) 연루 사실이 나오는 일이 있더라도 청와대가 앞장서 이번 저축은행 사태의 전말을 국민 앞에 드러내겠다"고 단호한 입장을 밝혔다.

홍영식/남윤선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