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 중 정상회담에서는 북한의 중국식 개혁 · 개방 추진과 이를 위한 중국의 지원,한반도 6자회담 재개를 위한 분위기 조성 방안 등이 집중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중에서도 특히 주목되는 것은 북 · 중 간 경제협력 모델이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한층 다듬어졌을 가능성이다.

김정일은 이번 방중 기간 중 중국 개혁 · 개방의 성과를 살펴 북한의 경제난 타개에 활용하는 방안도 정리한 것으로 관측된다.

한 대북 소식통은 "김 위원장이 앞서 며칠간 경제시찰을 통해 북한 경제발전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등을 종합한 다음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에서 반영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북한과 중국은 서로가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현실적인 '지정학적 카드'이다.

유호열 고려대 북한학과 교수는 "중국이 한반도 정세를 비롯해 국제사회에서 영향력을 발휘하는 데 북한은 매우 중요한 존재"라며 "북한 입장에서도 미국 등의 경제 제재가 장기화되면서 북 · 중 경협이 북한 대외경제의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중국에 더욱 기댈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정상회담을 계기로 나진,선봉,황금평 등과 중국의 동북 3성 간 경제협력이 확대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조봉현 기업은행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은 "지난 방중들이 '큰 그림'을 그리는 의미였다면 이번 회담은 구체적인 경협 성과를 도출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북 · 중 경제가 더욱 밀착할 경우 한국으로서는 앞으로 대북(對北)정책 운신 폭이 더욱 좁아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이해정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북한 경제의 대중(對中) 의존도가 높아지고 중국이 북한 지하자원 및 개발 이익을 더욱 선점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북 · 중 정상회담에서는 이 밖에 남북 비핵화 회담과 6자회담 재개 방안,전반적인 북 · 중 관계를 비롯해 양측의 국내 정세,지역 사안,후계구도 문제 등이 거론된 것으로 알려졌다.

김정은 기자 likesmi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