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태희 대통령실장은 8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 선정 논란과 관련,"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을 분리하는 것으로 보는 사람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 본원을 각각 다른 곳에 배치하는 것은 시너지 효과가 없는 만큼 통합하겠다는 뜻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당초 정부의 원안엔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 본원을 같은 곳에 두기로 돼 있었으나 두 기관의 배치 문제를 놓고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청와대는 즉각 해명에 나섰다. 홍상표 홍보수석은 "임 실장의 발언은 원론적인 개념을 뜻하는 것"이라고 했다. 두 시설이 한 곳에 있어야 연구 · 개발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게 과학자들의 대체적인 의견인 만큼 이런 상황을 강조한 발언이라는 것이다. 과학벨트를 어디에 둘 것이며,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 본원을 한 곳에 둘 것인지 여부는 관련 위원회에서 충분히 검토해 결론을 낼 것이기 때문에 청와대의 공식적인 입장은 아직 정해진 게 없다고 한 관계자는 전했다.

그렇지만 청와대 내에선 정부의 당초 계획대로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 본원은 한 곳에 두고 연구원 분원 50개중 절반 이상을 서울 광주 대구 부산 등에 분산 배치해야 된다는 게 대체적 기류다.

2009년 국가과학기술위원회가 확정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종합계획'에 따르면 기초과학연구원은 장기적으로 3000명 규모,분원 개념의 50개 연구단으로 구성되도록 했다. 각 연구단에는 연간 최대 100억원의 연구비가 지원된다. 연구단의 최대 50%를 본원 이외에 우수 연구기관에 두도록 했다.

분산이냐,통합이냐의 개념을 놓고 여전히 혼선을 겪고 있다. 임 실장은 "과학벨트의 개념을 애초의 (과학)도시 개념으로 보느냐,도시에서 확장한 벨트의 개념으로 보느냐에 따라 분산이냐 통합이냐의 개념이 달라진다"고 말했다. 또 "분리 여부를 논하기 위해서는 과학비즈니스벨트 개념부터 정리가 돼야 한다"며 "중이온 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 같은 핵심 시설을 같은 곳에 두는 것을 보고 통합이라고 이름을 붙일 것이냐,아니면 분원을 다른 데 두는 것을 봐서 분산이라고 부를 것이냐는 보는 시각에 따라 다르다"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 입지선정위원회에서 그런 용어도 규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과학벨트를 두고 혼선을 겪은 이유는 지난해 말 한나라당이 단독 처리한 '과학벨트법'에 과학벨트 구성 요소별,또는 구성요소 간 입지 규정이 거의 전무하기 때문이다.

과학벨트법엔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의 입지상 연계 조건을 규정한 조항이 없다. 정부의 당초 방침과 달리 연구원 분원 설치에 대한 제한도 없다. 법에는 '연구원은 법인으로 한다' 정도의 조항만 있고 나머지 기관의 구체적 형태는 모두 지난 7일 활동에 들어간 과학벨트위원회 산하 기초과학연구원위원회가 결정하게 된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