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압수 편지 DNA-지문 감식, 고 장자연과 관계없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ADVERTISEMENT
16일 경기도 수원 경기지방경찰청에서 진행된 공식 브리핑에서 경찰은 “2011년 3월 6일 ‘고 장자연 편지 50통 단독 입수’ 보도와 관련해 편지의 진위여부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증폭됨에 따라 7일 경기경찰청 광역수사대와 분당경찰서, 2009년 수사팀, 프로파일러 등 총 58명을 전담팀으로 편성해 조사에 착수했다”라고 조사경위를 발표했다.
경찰은 “언론사로부터 문건을 제출받지 못한 상황에서 보도내용을 모니터링해 2009년 3월 모 스포츠신문사에 제보한 전모씨가 다시 제보한 것으로 추정하고 9일 압수수색영장을 발부받아 광주교도소 전모씨의 방실 등에서 일명 장자연 편지 원본 24매 등을 압수, 국과수에 감정의뢰해 16일 감정결과를 통보받았다‘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경찰은 또한 성장과정에서 이들의 생활권이 달랐다는 점과 면회접견부 조사에서도 수감 당시 고인이 12회 정도 면회를 왔었다는 주장과 관련해 2003년부터 현재까지의 면회접견부를 확인한 결과 고인 또는 ‘장설화’라는 이름으로 면회한 사실은 없었다라고 덧붙였다.
일명 장자연 편지 조사 결과에 대해 “전모씨는 현재 위작 사실을 부인하고 있어 구체적으로 어떻게 위작했는지 단정할 수는 없으나 고인 관련 신문 스크랩이 300여장 발견됐고, 면회 온 지인과 교도관에게 고인 관련 기사 검색을 요청한 사실 등으로 보아 신문 스크랩 기사 등을 통해 고인 관련 사실을 습득한 후 언론에 공개된 고인의 자필 문건을 보고 필적을 연습해 편지를 작성한 것으로 추정된다”라고 밝혔다.
ADVERTISEMENT
또한 압수물 중에는 날짜가 다른 50개의 우체국 소인과 우표, 교도소 내 방실번호 부분만을 따로 모아 복사한 A4용지 2매, 복사된 소인 33개를 그대로 사용한 우편봉투 사본, 우표와 소인 부분의 테두리를 듥은 사인펜 등으로 칠해 복사한 것으로 보이는 봉투 사본, 소인의 날짜와 우체국 고유번호 부분을 오려낸 편재봉투 사본 등이 있었고 이를 조합해 새로운 형태의 편지봉투를 만들었을 것으로 경찰은 추정했다.
경찰은 “전모씨는 고인의 사망 이후 고인에 대한 관심을 갖고 신문기사들을 스크랩하고 인터넷 등 검색을 요청해 관련 내용을 숙지한 후 언론에 공개된 고인의 자필문건을 보고 필적을 연습해 고인에게 받은 편지로 위작하고 자신에게 온 다른 편지들의 우표와 소인부분을 오려낸 후 이를 붙이고 복사하는 방법으로 새로운 형태의 편지를 만든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일명 장자연 편지가 가짜라는 국과수의 감정결과를 뒷받침 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ADVERTISEMENT
경찰은 “이번 편지는 고인의 친필편지가 아닌 것으로 밝혀져 재수사가 불가능하지만, 범죄혐의가 의심되는 새로운 수사단서가 확보되는 경우 언제라도 한 점 의혹없이 수사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경찰은 지난 9일 장자연의 지인이라 주장하는 전모씨가 장으로부터 받았다는 원본 편지 24통과 전씨의 아내와 아내의 친구 명의로 작성된 편지 10장을 대상으로 국과수에 장자연의 친필 감정 의뢰를 요청했다.
신인배우 장자연은 드라마 '꽃보다 남자' 출연 중 2009년 3월 7일 자신의 집에서 목을 매 숨진 채 발견, 당시 이른바 장자연 리스트가 불거지면서 세간의 이목을 모았다.
그러나 수사는 급 마무리돼 일단락 됐으나 최근 모 언론사의 단독 편지 입수 방송으로 재점화 됐다.
한경닷컴 김명신 기자 sin@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