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에서 상용직 근로자 비중이 높아지고 임시 · 일용직 비중은 낮아졌다. 상용 근로자는 고용 계약 기간이 1년 이상인 근로자로 상용직이 늘었다는 것은 고용 안정성이 높아졌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경기 회복 속에 저소득층 고용 사정이 나아져 성장의 선순환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14일 기획재정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계층에서 가구주가 상용 근로자인 가구 비중은 17.6%로 전년도의 14.0%보다 3.6%포인트 높아졌다. 하위 20~40% 계층인 2분위에서도 상용직 근로자 가구가 2009년 31.2%에서 지난해 39.2%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체 가구의 상용직 비중이 47.5%에서 49.9%로 2.5%포인트 높아진 것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저소득층에서 상용직이 큰 폭으로 늘었다.

반면 저소득층의 임시 · 일용직 비중은 낮아졌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 중 임시 · 일용직 가구의 비중은 2009년 54.1%에서 지난해 52.2%로 떨어졌고,2분위에서도 임시 · 일용직 가구가 35.0%에서 29.0%로 줄었다. 임시직은 고용 계약 기간이 1개월 이상~1년 미만인 근로자,일용직은 1개월 미만인 근로자를 뜻한다.

1분위 가구 중 가구주가 자영업에 종사하거나 실직 상태에 있는 가구의 비중은 31.9%에서 30.2%로 줄었고 2분위에서는 이 비중이 33.8%에서 31.8%로 낮아졌다.

재정부 관계자는 "전체 고용이 증가한 가운데 상용직이 늘고 임시 · 일용직은 줄어 고용 안정성이 높아졌다"며 "저소득 임시 · 일용직 중 상당수가 상용직으로 전환하고 자영업자 중 일부도 임금 근로자로 전환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지난해 각종 소득 분배 지표가 개선된 것도 저소득층에서 상용직 근로자의 비중이 높아진 결과로 해석된다. 수치가 낮을수록 소득이 고르게 분배되는 것을 뜻하는 지니계수는 2009년 0.314에서 지난해 0.310으로 낮아졌고,하위 20% 대비 상위 20%의 소득 배율을 뜻하는 5분위 배율은 5.75에서 5.66으로 낮아졌다.

김신호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일반적으로 상용직 근로자가 임시 · 일용직이나 자영업자보다 소득이 높다"며 "저소득층에서 상용직이 증가하면서 소득 불평등이 완화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저소득층에서 가처분 소득이 소비지출에 못 미치는 적자가구 비중은 늘어 체감 경기가 크게 개선되지는 않았다는 지적도 있다. 지난해 1분위의 적자가구 비율은 53.7%로 전년도 52.9%보다 높아졌고 2분위의 적자가구 비중도 30.1%에서 30.8%로 올라갔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