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TI 97.28弗 마감

리비아 사태로 폭등하던 미국 뉴욕의 유가가 24일 비축유 방출 가능성과 사우디의 증산 방침 등에 힘입어 소폭 하락세로 돌아섰다.

하지만 리비아 반정부 세력과 정부 측의 충돌이 예상돼 수급차질에 대한 시장의 불안감은 여전한 상태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4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82센트(0.8%) 내린 배럴당 97.28달러로 마감했다.

런던 ICE 선물시장의 북해산 브렌트유도 2008년 8월 이후 최고치인 배럴당 119.79달러까지 올랐다가 폭등세가 다소 진정되면서 전날보다 3센트 떨어진 111.22달러 선에서 거래됐다.

앞서 WTI가격은 이날 개장 전 전자거래에서 배럴당 103.41달러까지 오르면서 2008년 9월 이후 약 2년5개월 만에 장중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하지만 미국 에너지 재고의 증가 폭이 예상치에 못 미친데다 사우디 아라비아가 증산에 나설 방침을 밝히고 국제에너지기구(IEA)의 전략비축유 방출 가능성도 제기되면서 유가의 급등세는 진정됐고 오후 들어 소폭의 하락세로 돌아선 채 마감됐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은 지난주 미국의 석유재고량이 80만배럴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에너지 시장조사업체 플라츠가 집계한 애널리스트들의 사전 증가폭 전망치인 140만배럴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휘발유 재고는 280만배럴 줄었고 난방유와 디젤을 포함한 정제유도 130만배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미국에서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신청자 수가 전주보다 2만2천명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지난달 내구재 주문도 4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서는 등 호전된 지표도 이어졌지만 지난달 미국의 신축주택 판매실적은 12.6%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 관계자들은 미국의 지표보다 리비아의 상황이 유가에 더욱 중요하다면서 반정부 세력과 정부의 무력충돌이 격화되면 유가가 다시 급등할 가능성이 얼마든지 남아있는 상태라고 지적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하루 400만배럴 규모의 여분 생산시설을 이용해 증산에 나설 용의가 있다고 밝혔고 IEA도 비상비축유를 방출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이번 사태로 리비아의 산유량 감소가 얼마나 되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한 집계가 이뤄지지 않고 있지만, 이탈리아 에너지업체 ENI의 파올로 스카로니 최고경영자(CEO)는 리비아의 1일 원유 생산량이 120만배럴 줄었다고 밝혔다.

한편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로 인해 이날 금값은 4월물이 전날보다 1.80달러(0.1%) 오른 온스당 1천415.80달러로 마감했다.

(뉴욕연합뉴스) 김지훈 특파원 hoonki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