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6일 서울 코엑스 콘퍼런스센터 327호.바이오벤처기업들을 상대로 'Burrill-KB 신성장동력 펀드'의 투자설명회가 열렸다. 지식경제부와 KB인베스트먼트,미국 버릴 앤드 컴퍼니 등의 공동출자로 2009년 9월 출범한 이 펀드는 돈가뭄에 시달리고 있는 국내 바이오산업에 '단비'가 될 것으로 한껏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이 펀드는 출범 1년6개월이 지났지만 아직까지 단 한건의 투자도 못했다. "그동안 마땅한 바이오기업을 찾지 못했다"는 게 KB인베스트먼트 측 설명이다. 당초 1000억원으로 몸집을 불리겠다고 공언했지만,펀드설정액은 760억원으로 제자리 걸음이다.

정부가 틈만 나면 차세대 신성장동력으로 키우겠다는 국내 바이오산업의 현실이다. 바이오산업이 홀대받는 것은 이뿐만이 아니다. 양윤선 메디포스트 대표는 얼마 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대통령과의 간담회에서 바이오신약의 인 · 허가를 담당하는 공무원 수를 늘려달라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신약이나 치료제를 심사할 전문인력이 부족해 심사가 늦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시간이 돈'인데 행정이 이를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다.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바이오치료제를 맡고 있는 곳은 첨단제제과.5년여 전 유전자치료제과,세포조직공학제제과,생물진단의약품과로 전문화됐던 3개과를 한 곳으로 통합했다. '황우석 사태'가 직접적 빌미가 됐다는 후문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양 대표의 발언에 대해 즉석에서 시원스럽게 화답했지만,아직까지 인력이 보강됐다는 얘기는 들리지 않는다.

현재 첨단제제과에 속한 연구관은 4명.이들이 국내 바이오기업들이 제출한 임상보고서와 품목허가신청서를 붙들고 있다. 현재 식약청에 접수된 임상단계별 보고서만 150여건에 달한다고 한다.

최근 만난 한 바이오 기업의 대표는 "역설적이지만 '황우석 사태'를 계기로 국내 바이오기술은 비약적으로 발전한 데 반해 관련 행정은 오히려 10년 전으로 퇴보한 느낌"이라고 말했다. 그는 "사회 곳곳에 뿌리깊이 박혀 있는 '황우석 트라우마(정신적 외상)'를 치유하지 못하면 한국 바이오의 미래는 없다"고 덧붙였다.

손성태 과학벤처중기부 기자 mrhan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