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입생이 없어요"

전국 농산어촌과 섬지역 등에서 신입생이 없는 초등학교가 늘고 있다.

대도시로의 이농에다 출산율 저하 등이 맞물리면서 학령(學齡) 인구가 급격히 줄고 있기 때문이다.

9일 전국 시도 교육청 등에 따르면 3월 개학을 앞두고 초등학교 신입생 입학예정자를 집계한 결과 전국적으로 200여곳에서 새내기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입생이 달랑 1명에 불과한 학교도 수십곳에 달하는 등 농어촌 소규모 학교의 공동화가 심화되고 있다.

전남은 올해 여수 초도초교 등 분교를 포함해 무려 41곳에서 신입생을 받지 못했다.

지난해 10곳에 비하면 4배로 늘었으며 신입생이 1명인 곳도 순천황전북초교 등 32곳에 달했다.

전체 87개 분교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38곳이 신입생이 없는 셈이다.

주로 도서벽지와 농촌지역 소규모 학교임을 감안해도 신입생 감소는 눈에 띄게 늘고 있다.

강원도 본교 17곳을 비롯해 39곳에서 신입생이 없으며 작년 26곳보다 크게 늘었다.

경남과 전북도 각 13곳과 8곳이 신입생이 없는 상태에서 새 학기를 맞이할 전망이다.

경북은 25곳에서 신입생이 전무했으며 1곳인 학교도 31곳에 달했다.

경북교육청은 '작은 학교 가꾸기 사업'을 통해 학생수 늘리기에 나서 그나마 일부 학교에서 성과를 거뒀지만 대세를 뒤집기에는 역부족이다.

충북은 지난해보다 1곳이 늘어난 6곳이 신입생이 없으며 섬지역인 인천 옹진군은 2곳 분교에서 새내기를 받지 못했다.

이에 따라 강원과 전남, 경북 등 상당수 지역에서 학교 통폐합에 따른 폐교가 속출하고 있다.

여기에 학부모들이 소규모 학교 진학을 꺼리면서 학생수 감소와 폐교 등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그나마 농촌으로 시집 온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신입생을 채워주고 있다.

강원교육청 관계자는 "소규모 학교는 정상적 교육과정 운영에 애로가 크다"며 "무엇보다 농어촌의 정주여건 개선으로 이농을 막는 일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전국종합연합뉴스) 송형일 기자 nicepe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