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적을 취득해 귀화한 외국인이 10만명을 넘어섰다. 우리 경제가 발전하고 국격이 높아지면서 국민들의 구성 내역도 국제화돼 가고 있는 셈이다. 귀화 인구가 10만명을 넘어선 것은 1948년 정부 수립 이후 63년, 첫 귀화 허가가 이뤄진 1957년 이후 54년 만의 일이다. 특히 2000년 이전 연평균 34명에 불과하던 귀화자가 2001년 이후 연평균 9816명으로 급팽창하는 등 최근 10년간의 귀화자가 전체의 98%를 차지했다.

귀화자가 급증하고 있는 것은 국제결혼 활성화에 따른 결혼이민자 증가와 동포 포용정책으로 중국동포의 입국문호가 넓어진 점이 주된 요인으로 판단된다. 이는 전체 귀화자의 79%를 중국 출신이 차지하고, 이어 베트남 9%, 필리핀 5% 등의 순서를 보이고 있는 점만 봐도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가 글로벌 수준으로 발돋움하면서 외국인들의 귀화선호도가 증가한 것도 한몫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문제는 외국인들의 귀화로 다문화 가정이 급격히 늘고 있는데도 우리 사회의 포용력은 그만큼 갖춰져 있지 않다는 점이다. 그들이 우리 사회의 일원으로 정착하기까지는 언어적 · 문화적 차이로 인해 엄청난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그런데도 그들과 그들의 자식들이 우리의 말과 글을 배우고 문화적 이질감을 극복할 수 있게 지원해주는 체계는 미흡하기 짝이 없다. 더욱이 산업 근로자 등의 형태로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도 100만명을 훨씬 웃돌고 있는 만큼 그들을 우리 사회에 원만하게 동화시킬 수 있는 지원체계 구축이 더욱 시급하다.

물론 정부도 다문화가족지원법을 만들고 관련 예산을 늘리는 등 나름대로의 노력을 기울이고는 있지만 그들의 어려움을 해소하기엔 역부족인 게 현실이다. 귀화자와 다문화가정이 평범한 이웃으로 정착하고 안정된 생활을 꾸릴 수 있도록 근본적 대책을 강구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이야기다. 국민들 또한 진심으로 마음을 열고 그들을 포용해야 한다. 열린 사회를 만들어야 세계 속의 한국으로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