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응찬 오늘 소환, 천신일ㆍ김승연 금명 출석
청목회 `입법로비' 의원도 주말부터 줄소환

검찰이 `신한사태'와 임천공업 비리, `입법로비' 및 한화그룹 비자금 의혹을 비롯해 여론이 주목하는 주요 사건의 핵심 인물들을 줄줄이 소환하는 등 수사의 마지막 관문을 향해 가속 페달을 밟고 있다.

주요 인사들의 출석 일정이 이 시점에 촘촘히 몰리는 것은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이나 당사자 개인 사정과 같은 외부 변수가 돌출되기는 했지만 어쨌든 해를 넘기지 않고 주요 사정수사를 마무리하겠다는 검찰의 강한 의지가 작용한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줄소환 릴레이의 첫 테이프는 라응찬 전 신한금융지주 회장이 끊었다.

라 전 회장은 30일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3부로 출석해 차명계좌를 운용해 금융실명제법을 위반한 혐의와 이희건 명예회장에게 지급할 경영 자문료 일부를 가로챘다는 의혹에 대해 조사받았다.

이로써 지난 17일 신상훈 신한금융지주 사장, 22일 이백순 신한은행장에 이어 라 전 회장까지 이른바 `신한 빅3'의 소환조사가 일단락됐다.

이후 검찰은 신 사장의 재소환 등 보완수사가 필요한지 검토를 거쳐 올해 안으로 이들의 사법처리 범위와 수위를 결정해 사건을 일괄 처리할 방침이다.

신병치료 등의 이유로 3개월 넘게 국외에 체류하던 천신일 세중나모여행 회장은 이날 오전 전격 귀국해 사실상 중단 상태였던 임천공업 비리 수사를 재점화시켰다.

정권실세로 꼽히는 천 회장은 그동안 세 차례의 소환 통보에 모두 불응했으나 검찰의 끈질긴 압박에 더는 버티기가 어렵다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는 다음달 1일이나 2일께 천 회장을 불러 임천공업 이수우(구속기소) 대표에게서 은행 대출이나 세무조사 무마 등에 도움을 주는 대가로 모두 40억원 상당의 금품을 건네받은 혐의가 있는지 조사하고 최대한 서둘러 형사처벌 수위를 결정할 방침이다.

중앙지검 관계자는 "신한금융과 천 회장 수사 모두 돌발 변수가 생기지 않는다면 올해 안에 끝낼 수 있을 것"이라며 사건을 연내에 종결할 방침임을 분명히 했다.

재경지검에서 진행 중인 한화그룹 비자금 의혹 수사와 전국청원경찰친목협의회(청목회) 입법로비 수사도 다음달부터 사실상 마무리 단계로 들어선다.

서울서부지검 형사5부는 다음달 1일 김승연 한화 회장을 불러 부실 계열사에 수천억원을 부당 지원했다는 의혹과 차명계좌로 수백억원의 자산을 관리한 의혹을 직접 조사하기로 했다.

검찰은 김 회장의 소환을 끝으로 관계자 조사를 마치고 배임 등의 혐의로 김 회장 등을 사법처리할 수 있을지 면밀히 검토해 수사를 종결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북부지검 형사6부도 북한의 연평도 포격 이후 조성된 한반도의 안보위기 상황을 고려해 속도조절에 나섰던 입법로비 수사를 재개, 한미연합훈련이 끝나는 다음달 1일 이후부터 후원금을 받은 국회의원들과 접촉해 소환 일정을 잡기로 했다.

이 사건의 경우 시간이 오래 걸리는 기업 비리 수사와 달리 로비의 종착지인 의원들의 소환을 고비로 마무리 수순에 접어들 것으로 검찰은 보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강건택 기자 firstcircl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