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30]경주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에서 자국 통화의 평가절하 자제 및 경상수지 상한 설정 문제에 관한 합의에 도달하지 못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로이터통신은 22일 소식통을 인용,“미국이 ‘감내할 수 있을 정도’의 무역흑자와 적자에 관한 숫자상 목표를 설정하자고 제안했으나 신흥국은 물론 일부 선진국의 거센 반발에 직면했다”며 이같이 관측했다.

소식통은 “미국측 제의에 중국과 인도를 비롯한 신흥국은 물론 막대한 무역흑자를 내는 독일 같은 국가조차 지지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앞서 티머시 가이트너 미 재무장관은 월스트리트저널(WSJ)과의 인터뷰에서 “환율정책의 기준이 될 협정을 체결하자”고 촉구한 바 있다.당시 가이트너 장관은 “당장 무엇이 공정한지 확립된 의식이 없다”며 “각국이 환율정책의 기준 틀을 마련해 그 쪽으로 움직이길 원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크리스틴 라가르드 프랑스 재무장관은 “환율정책에 관한 협력이 어렵다”며 “환율 관련 논의에서 아시아 국가들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맡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은 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의 결과에 대해 “낙관적으로 생각한다”며 미국,중국 등과 양자회담을 통해 환율 등 주요 쟁점에 대해 막판 절충을 시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동욱 기자 kim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