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터테인먼트주에 대한 기대감이 부풀어 오르고 있다. 한한령(한류 콘텐츠 금지령) 해제 조짐이 나타난 데다 트럼프발(發) 관세 전쟁의 '무풍지대'로도 떠오른 결과다. 증권가에선 엔터주 실적이 점차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번주(14~18일) ACE KPOP포커스 상장지수펀드(ETF)는 6.46% 올랐다. 이 ETF 내 4대 기획사(하이브·에스엠·JYP·YG엔터테인먼트) 비중이 94.4%(17일 기준)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기간 YG엔터(10.05%), 에스엠(9.3%), JYP(6.21%), 하이브(1.99%)가 모두 좋은 성과를 보였다. 이들 종목은 코스피(2.08%), 코스닥(3.19%) 지수의 주간 상승률을 대부분 웃돌았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9일 우리나라에 대한 상호관세 25%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상호관세가 효력을 발휘한 직후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에 대한 관세가 90일 유예됐고, 협상이 진행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거래를 결정하는 것은 우리(미국)"라며 협상에서 주도권을 차지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관세 불확실성은 여전하지만, 엔터주는 꼿꼿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음원·공연·콘텐츠 매출은 관세의 영향을 덜 받기 때문이다. 국내서 수출하는 굿즈(기획상품)의 가격은 오를 수 있지만, 원·달러 환율이 높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 어느 정도 상쇄될 것으로 예상된다.여기에 한한령 해제 기대감까지 더해져 투자심리가 개선됐다. 국내 3인조 래퍼 '호미들'은 지난 12일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형제들' 공연을 열었다. 앞서 밴드 '검정치마' 등 해외 국적 가수나, 소프라노 조수미의 공연이 허용되긴 했지만,
2021년 5월 최고가 5만1200원을 찍었는데….4년이 다 되어가는데 주가는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코스피 시가총액 (3353억원) 489위 한섬 이야기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주가는 1만4950원으로 최고가 대비 70.80% 폭락했다. 2021년 역사적 최고가를 기록한 이유는 코로나19로 주춤했던 소비심리가 점차 회복되면서 타임·시스템 등 한섬 프리미엄 패션 브랜드 수요 증가로 실적 순항이었기 때문이다.한섬은 1987년 설립됐는데 여성복 자체 브랜드 마인(MINE)을 시작으로 타임·시스템 등 차별화된 디자인과 제조 역량을 바탕으로 국내 패션계를 선도하고 있다. 특히 현대홈쇼핑이 2012년 4200억원에 인수해 현대백화점 그룹에 편입됐고, 2017년에는 SK네트웍스 패션사업 부문도 추가로 인수해 덩치를 키웠다. 2020년엔 한섬라이프앤(옛 클린젠코스메슈티칼) 지분 51%를 인수해 뷰티사업에 진출했고, 올 초 완전 흡수합병했다. 여성 및 남성 의류 브랜드 타임·타임옴므·시스템·SJSJ·랑방 컬렉션 등 40여 개 패션 브랜드를 갖고 있다. 한섬 “올 수익성 회복에 집중 … 파리 등 해외 공략 가속”19일 회사 관계자는 “올해 수익성 회복에 집중하겠다”고 말을 꺼냈다. 그는 “단기적으로 강도 높은 비용 절감과 비효율 부문 개선으로 재무 효율성을 높이고 적정 재고 관리를 강화해 수익성 회복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강조했다. 체질 개선으로 중장기 성장 기반을 견고히 한다는 방침이다. 또 “빠르게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와 점점 더 세분화되고 있는 고객 취향에 맞춰 우리가 보유한 온라인·오프라인 채널의 강점을 융합해 고객이 언제 어디
미국발(發) 관세 전쟁 여파로 금값이 연일 치솟고 있다. 반면 금과 함께 대체자산으로 주목받은 비트코인(BTC)은 8만달러 초·중반대의 박스권에 갇혔다. 시장에서는 금과 비트코인의 상관관계를 두고 분석이 엇갈리고 있다.17일(현지시간) 로이터 등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은행(IB) 씨티은행은 이날 보고서를 통해 향후 3개월간 금값 전망치를 기존 온스당 3200달러에서 3500달러로 300달러 상향 조정했다. 씨티은행은 "중국을 포함한 신흥시장 중앙은행이 금 매수량을 늘리고 있다"며 "올 2분기 금 투자와 산업 수요가 광산 공급량의 110%까지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로이터는 올 2분기 금 수요 전망치와 관련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전했다.연일 고공행진에 'M7' 제친 금금값 상승세가 본격화한 건 지난 1분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정책을 본격화한 시점과 맞물린다. 글로벌 무역 갈등으로 경기 불확실성이 커진 데다가 달러화까지 약세를 보이며 안전자산 수요가 급증한 것이다. 이에 금값은 지난달 사상 처음 온스당 3000달러를 돌파한 데 이어 전날(17일)에는 장중 3350달러선을 뚫으며 역대 최고가 기록을 다시 썼다.금값이 고공행진하며 관련 투자상품에도 자금이 쏠렸다. 세계금협회(WGC)에 따르면 글로벌 금 상장지수펀드(ETF)는 올 1분기에만 211억달러(약 30조원) 규모의 자금이 순유입됐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해 경기 불확실성이 커졌던 지난 2022년 1분기 이후 최대 규모의 자금 순유입이다.이와 관련해 글로벌 투자은행 JP모건은 "투자자들이 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