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31일 한 의원연찬회가 분수령..여론향배 관건
野 "한나라당 표결 강행시 실력저지 나설 것"

김태호 국무총리 후보자 인준을 둘러싼 `인준 정국'이 이번 주초 최대 고비를 맞을 전망이다.

김 총리 후보자에 대한 야당의 사퇴 압력이 점점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청와대와 한나라당 지도부는 29일 여론의 흐름을 예의주시하면서 직.간접 접촉을 갖고 대책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30일부터 이틀간 충남 천안에서 열리는 한나라당 의원 연찬회는 김 총리 후보자의 거취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미 당내에서 공론화된 `김태호 낙마론'이 연찬회를 통해 더욱 확산하느냐, 아니면 수그러드느냐에 따라 김 후보자의 `정치적 운명'을 가를 수 있다는 관측이다.

이명박 대통령이나 김 후보자가 여론의 역풍에도 결단을 내리지 않는다면 연찬회에서 또다시 수도권 의원들을 중심으로 `김태호 불가론'이 분출할 가능성이 높다.

수도권 친이(친이명박)계 한 의원은 "김 후보자가 자진 사퇴하는 게 대통령이나 본인을 위해 최선의 방법"이라면서 "만약 표결에서 부결되면 정치적 사망선고를 받는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현재 한나라당 내에서는 김 후보자의 거취를 둘러싸고 '정면돌파론'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김 총리 후보자가 낙마할 경우 이명박 대통령의 권위가 훼손되는 데다 향후 정국운영에 적잖은 부담으로 작용하는 만큼 인준 표결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무성 원내대표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여론을 주시하고 있다"면서도 "당의 공식 입장은 김 총리 후보자의 인준에 대한 표결을 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여권 핵심부에서는 총리 인준안 표결이 연기된 만큼 여론의 추이를 면밀히 점검하되, 정기국회가 열리는 9월1일 본회의에서 총리 인준안을 처리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당의 핵심 관계자는 "9월1일에도 총리 인사청문특위에서 야당의 반대로 총리 임명동의안 경과보고서가 채택되지 않을 경우 직권상정을 통해 본회의에서 표결 처리를 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여당이 총리 인준을 강행할 경우 민주당 등 야당은 공조를 통해 `실력 저지'에 나선다는 입장이어서 여야 간 충돌은 물론 총리 인준을 둘러싼 대립이 장기화할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한나라당 내 의원들의 반발을 불러일으키면서 여당 내부에서도 분란이 일어날 가능성도 없지 않다는 관측이다.

여권 관계자는 "김 총리 후보에 대한 비판 여론의 흐름을 돌릴 반전 카드가 마땅치 않다"면서 "인준 표결을 강행한다는 방침이지만 표결 결과를 낙관할 수 있는 상황도 아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종우 기자 jongwo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