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익은 모두 보탬이 되는 것일까. 우문처럼 들릴 수 있지만 기업입장에선 경영에 도움되는 이익과 그렇지 못한 이익이 있다. 이익이 현금흐름을 수반하는 것인지,아닌지에 따라 평가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경영성과 측정에 적용하는 발생주의 회계에선 현금유출입이 이뤄진 시점이 아니라 거래가 발생한 시점에 수익이나 비용을 인식한다. 그 결과 회계상 이익발생과 현금유출입은 통상 불일치하게 된다. 장사를 잘해 이익을 내도 현금이 들어오지 않아 어려움에 처하는 기업이 생길 수 있다는 얘기다.

이익의 질을 판단하기 위한 잣대는 영업활동이다.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이 당기순이익의 몇 배인지를 구해 그 배율이 높을수록 이익의 질이 높다고 보는 것이다. 당기순이익과 동일한 영업현금흐름이 발생했다면 이익의 질을 측정하는 지표는 1이다.

간판기업인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포스코의 2009년 이익의 질 지표는 모두 1을 초과하며 2를 넘는 곳도 있다. 이 지표가 1에 많이 못 미치거나 심지어 마이너스가 된다면 흑자도산의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한 해의 영업현금흐름만으로 속단할 수 없지만 열심히 장사해도 현금이 들어오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린다면 경영은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질 높은 이익은 현금흐름이 동반되는 이익이다. 특히 경기변동이 심하거나 불황이 깊을 때는 이익의 질이 기업의 생존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투자자 입장에서도 이익의 질은 반드시 확인해야 할 포인트다. 참고로 시가총액 상위 30개사 중 금융회사와 당기순손실을 낸 회사를 제외한 2009회계연도 평균 이익의 질 지표는 1.6이다.

전용석 < 딜로이트안진 상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