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 인터뷰] 최태지 국립발레단장‥"무대 밖에선 '인생'에 빠져야 사랑과 아픔을 표현하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발레 조기교육 너무 욕심내지 마세요…저도 열살 때 시작했어요
힘 있는 나라가 문화도 번성, G20 계기로 머잖아 'B20' 진입할 것
감동 받으면 언제나 박수 쳐도 돼요…커튼콜 할때 '브라보' 외치시고요'
힘 있는 나라가 문화도 번성, G20 계기로 머잖아 'B20' 진입할 것
감동 받으면 언제나 박수 쳐도 돼요…커튼콜 할때 '브라보' 외치시고요'
만난사람=고두현 문화부장 kdh@hankyung.com
"문화체육관광부가 올해 예산을 늘려줬어요. 작품 많이 하라고.보통은 예술의전당에 연간 4편을 올렸는데 올해는 7편이나 돼요. 국립극장에서 공연하는 '왕자 호동'까지 합하면 대작만 8편이죠.'찾아가는 발레'를 포함해 총 110회 공연이니까 사흘에 한 번씩이죠.무용수들은 좋은 작품을 만날 때마다 성장합니다. 올해는 러시아 볼쇼이발레단의 '로미오와 줄리엣' 공연에 우리 무용수들이 주역으로 초청됐으니 발레의 세계화라는 측면에서도 큰 성과가 나오고 있습니다. "
'롤랑 프티의 밤' 공연 준비로 눈코 뜰 새 없는 최태지 국립발레단장(51).일본식 발음이 섞인 말로 우리 발레의 성장 과정을 설명하는 그의 표정이 무척 밝다. 아이를 둘이나 낳은 뒤에도 수많은 관객을 매료시켰던 프리마 발레리나답게 손짓과 몸짓도 스케일이 크고 우아하다. 활달한 성격에 잘 웃는 것 또한 타고난 복인 듯하다.
"러시아가 참 대단해요. 올해 볼쇼이발레단에서 우리 수석 무용수인 김지영 김주원 이동훈 김현웅을 초청했어요. 러시아 무용수들이 군무를 추고 우리 무용수들이 주역을 맡는 거죠.이런 일은 처음이에요. 세상에,발레 대국인 러시아가 우리를 그만큼 높이 평가한다는 것이잖아요. 또 우리나라 무대에 올리는 '라이몬다'에는 러시아 주역들이 출연합니다. "
최 단장은 "국립발레단이 재단법인으로 바뀐 지 10년이 되는 올해는 발레단의 성장에 중요한 시점"이라며 "해외 진출의 원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오는 11월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축하공연으로 '왕자 호동'을 올리는데 우리나라 정도의 국력이라면 발레 20개국(B20)에 들어갈 수 있는 날이 머지않을 거라 확신한다"면서 "경제력이 크고 힘 있는 나라일수록 문화도 번성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크라시쿠(클래식)는 더 그래요. G20에 들면 B20에도 들어야 하는데 모든 사람이 예술에 관심을 갖고 함께 키워가야 합니다. 국립이라고 하면 100% 국고 지원을 받는다고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아요. 국가로부터 받는 게 75% 정도이고,나머지는 우리가 벌어서 단원들이 먹어야 해요. 우리 새끼(단원)들이 좋은 작품 만나려면 그걸 가져와야 하는 것이고,그게 바로 제 일이죠.그래서 요새는 경영에 관심이 많아요. "
그는 "1996년 '해설이 있는 발레'와 '찾아가는 발레'를 시작할 때만 해도 지나친 대중화라는 비난을 받았지만 지금 생각하면 정말 잘한 일이었다"고 역설한다. "타워호텔 야외수영장 근처의 무대였는데 튜브를 들고 내려오면서,유모차를 끌고 오면서,모두 구경하며 좋아하더라고요. 약 4000명이 모였을 거예요. 지난해 해남에 가니까 '으메 으메 좋은 거' 하며 너무들 좋아해요. 제주도 갔을 땐 팬사인회를 한다고 1시간 전부터 기다려요. 서울 관객들은 (기다리는 대신) 급히 차 타고 돌아가는데 지방에 가면 달라요. 단원들도 지방에 가는 걸 무척 좋아해요. 오히려 발레를 한 번도 안 본 사람들에게 박수받는 것도 좋잖아요. "
발레공연 도중에 박수를 쳐도 될까. "감동을 받으면 언제든 칠 수 있어요. 옆을 볼 필요도 없죠.음악회에서는 1악장 2악장은 안 된다 뭐 이런 식이지만 발레는 감동적일 때 언제나 칠 수 있죠.중간 레베랑스(무용수들이 관객한테 인사) 때는 꼭 박수치시고,마지막 커튼콜할 때 '브라보'라고 외치면 더 좋지요. 진짜 감동적이면 그냥 일어서면 됩니다. 그게 매너죠.구라파(유럽)에서는 무용수에게 고맙다는 의미에서 박수를 치잖아요. 눈치 보지 말고 선구자가 돼 박수를 치면 남들이 따라칩니다. 내 마음의 감동을 주는 (표현하는) 것이죠."
최씨의 키는 165㎝,몸무게는 50㎏ 정도다. 어떻게 몸매와 건강까지 관리할까. "아이 둘을 낳고 무대에 올라도 괜찮았어요. 잘 먹고 잘 자요. 그게 비결이죠 뭐.올해부터는 거울 속에서 미워보일 때가 있어요. 그래서 요즘은 운동을 따로 해요. 필라테스를 1주일에 두 번.먹는 건 안 가려요. 집에 가서 배고프면 라면도 끓여먹고 한식을 무척 좋아하지요. "
그의 딸들도 핏줄을 이어받았다. 첫째(리나 · 24)는 러시아 보리스에이프만 발레단의 솔리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둘째(세나 · 20)도 발레를 배우다가 '엄마와 언니가 너무 힘들어 보여' 뉴욕대에서 경제학을 공부하고 있다. 남편(임준호 · 변호사)은 예술적 끼를 접었던 아쉬움 때문에 아내의 발레 인생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일본에서 태어나고 자란 그는 10세 때 발레를 시작했다. "초등학교 5학년 때였는데 발레학원 선생님을 보고 반했죠.그 선생님처럼 되고 싶었고 그 분이 제게는 멘토였어요. 그런데 우리나라 사람들은 발레를 너무 일찍 가르쳐야 한다고 잘못 생각하는 것 같아요. 발레는 일찍 시작하는 게 아니에요. 김주원 김지영도 초등학교 5학년 때부터 했죠.우리는 옆집 애들보다 더 일찍,더 많이 시키려 하는데 일찍 시작하면 싫증내요. 재능 있는 애들이 다른 길로 빠지는 걸 많이 봤죠.상체 힘이 없는데 다리에만 힘을 주면 휘고 미워지고….세계적인 발레학교는 10세부터 시작합니다. 절대로 늦었다고 생각 마세요. 프로페셔널 세계에선 10세가 시작점이에요. "
그는 또 "무대에서만큼은 무가 되는 순간,자기가 음악과 함께 움직이는 그 순간 때문에 좋아서 하는 게 발레"라며 "저도 결혼하면,애 낳으면 절대로 안 한다고 했다가 다시 거기(무대)에 가고 싶어 못 참았다"고 했다. "발레는 인생을 얘기하는 거죠.발레리나의 목표는 결국 예술성이고.외국에서는 예쁜 몸매와 테크닉보다 예술성을 봅니다. 우리 발레의 수준이 세계 콩쿠르에서 상받고,테크닉이 되고,몸매도 되지만 이제 더 좋은 작품을 만나 진짜 예술의 경지로 올라가야 하는 시기가 왔다고 봐요. 전 이렇게 말해요. 무대에서는 발레에 미치지만 무대 밖으로 나가면 인생 속으로 들어가라.사랑이 있고 아픔이 있다. 그걸 표현해라."
그는 앞으로 발레학교를 만드는 게 꿈이라고 말했다. "창작발레도 많이 만들어야 하지만 제 생각에는 발레학교가 꼭 필요해요. 한국에서 너무 놀란 것은 사교육비가 비싸 발레를 배울 수 있는 사람이 한정돼 있다는 거예요. 10세부터 18세까지 다닐 수 있는 학교가 있어야 합니다. 세계적으로 봐도 발레단보다 국립발레학교가 먼저 생기지요. 우린 거꾸로예요. 기숙사 학교에서 일반 교육도 하면서 중 · 고교 과정 거치고 컴퍼니(전문 발레단)에 입단할 수 있고 대학에도 갈 수 있는 그런 학교가 필요해요. 정부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가 고민할 때입니다. "
"문화체육관광부가 올해 예산을 늘려줬어요. 작품 많이 하라고.보통은 예술의전당에 연간 4편을 올렸는데 올해는 7편이나 돼요. 국립극장에서 공연하는 '왕자 호동'까지 합하면 대작만 8편이죠.'찾아가는 발레'를 포함해 총 110회 공연이니까 사흘에 한 번씩이죠.무용수들은 좋은 작품을 만날 때마다 성장합니다. 올해는 러시아 볼쇼이발레단의 '로미오와 줄리엣' 공연에 우리 무용수들이 주역으로 초청됐으니 발레의 세계화라는 측면에서도 큰 성과가 나오고 있습니다. "
'롤랑 프티의 밤' 공연 준비로 눈코 뜰 새 없는 최태지 국립발레단장(51).일본식 발음이 섞인 말로 우리 발레의 성장 과정을 설명하는 그의 표정이 무척 밝다. 아이를 둘이나 낳은 뒤에도 수많은 관객을 매료시켰던 프리마 발레리나답게 손짓과 몸짓도 스케일이 크고 우아하다. 활달한 성격에 잘 웃는 것 또한 타고난 복인 듯하다.
"러시아가 참 대단해요. 올해 볼쇼이발레단에서 우리 수석 무용수인 김지영 김주원 이동훈 김현웅을 초청했어요. 러시아 무용수들이 군무를 추고 우리 무용수들이 주역을 맡는 거죠.이런 일은 처음이에요. 세상에,발레 대국인 러시아가 우리를 그만큼 높이 평가한다는 것이잖아요. 또 우리나라 무대에 올리는 '라이몬다'에는 러시아 주역들이 출연합니다. "
최 단장은 "국립발레단이 재단법인으로 바뀐 지 10년이 되는 올해는 발레단의 성장에 중요한 시점"이라며 "해외 진출의 원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오는 11월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축하공연으로 '왕자 호동'을 올리는데 우리나라 정도의 국력이라면 발레 20개국(B20)에 들어갈 수 있는 날이 머지않을 거라 확신한다"면서 "경제력이 크고 힘 있는 나라일수록 문화도 번성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크라시쿠(클래식)는 더 그래요. G20에 들면 B20에도 들어야 하는데 모든 사람이 예술에 관심을 갖고 함께 키워가야 합니다. 국립이라고 하면 100% 국고 지원을 받는다고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아요. 국가로부터 받는 게 75% 정도이고,나머지는 우리가 벌어서 단원들이 먹어야 해요. 우리 새끼(단원)들이 좋은 작품 만나려면 그걸 가져와야 하는 것이고,그게 바로 제 일이죠.그래서 요새는 경영에 관심이 많아요. "
그는 "1996년 '해설이 있는 발레'와 '찾아가는 발레'를 시작할 때만 해도 지나친 대중화라는 비난을 받았지만 지금 생각하면 정말 잘한 일이었다"고 역설한다. "타워호텔 야외수영장 근처의 무대였는데 튜브를 들고 내려오면서,유모차를 끌고 오면서,모두 구경하며 좋아하더라고요. 약 4000명이 모였을 거예요. 지난해 해남에 가니까 '으메 으메 좋은 거' 하며 너무들 좋아해요. 제주도 갔을 땐 팬사인회를 한다고 1시간 전부터 기다려요. 서울 관객들은 (기다리는 대신) 급히 차 타고 돌아가는데 지방에 가면 달라요. 단원들도 지방에 가는 걸 무척 좋아해요. 오히려 발레를 한 번도 안 본 사람들에게 박수받는 것도 좋잖아요. "
발레공연 도중에 박수를 쳐도 될까. "감동을 받으면 언제든 칠 수 있어요. 옆을 볼 필요도 없죠.음악회에서는 1악장 2악장은 안 된다 뭐 이런 식이지만 발레는 감동적일 때 언제나 칠 수 있죠.중간 레베랑스(무용수들이 관객한테 인사) 때는 꼭 박수치시고,마지막 커튼콜할 때 '브라보'라고 외치면 더 좋지요. 진짜 감동적이면 그냥 일어서면 됩니다. 그게 매너죠.구라파(유럽)에서는 무용수에게 고맙다는 의미에서 박수를 치잖아요. 눈치 보지 말고 선구자가 돼 박수를 치면 남들이 따라칩니다. 내 마음의 감동을 주는 (표현하는) 것이죠."
최씨의 키는 165㎝,몸무게는 50㎏ 정도다. 어떻게 몸매와 건강까지 관리할까. "아이 둘을 낳고 무대에 올라도 괜찮았어요. 잘 먹고 잘 자요. 그게 비결이죠 뭐.올해부터는 거울 속에서 미워보일 때가 있어요. 그래서 요즘은 운동을 따로 해요. 필라테스를 1주일에 두 번.먹는 건 안 가려요. 집에 가서 배고프면 라면도 끓여먹고 한식을 무척 좋아하지요. "
그의 딸들도 핏줄을 이어받았다. 첫째(리나 · 24)는 러시아 보리스에이프만 발레단의 솔리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둘째(세나 · 20)도 발레를 배우다가 '엄마와 언니가 너무 힘들어 보여' 뉴욕대에서 경제학을 공부하고 있다. 남편(임준호 · 변호사)은 예술적 끼를 접었던 아쉬움 때문에 아내의 발레 인생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일본에서 태어나고 자란 그는 10세 때 발레를 시작했다. "초등학교 5학년 때였는데 발레학원 선생님을 보고 반했죠.그 선생님처럼 되고 싶었고 그 분이 제게는 멘토였어요. 그런데 우리나라 사람들은 발레를 너무 일찍 가르쳐야 한다고 잘못 생각하는 것 같아요. 발레는 일찍 시작하는 게 아니에요. 김주원 김지영도 초등학교 5학년 때부터 했죠.우리는 옆집 애들보다 더 일찍,더 많이 시키려 하는데 일찍 시작하면 싫증내요. 재능 있는 애들이 다른 길로 빠지는 걸 많이 봤죠.상체 힘이 없는데 다리에만 힘을 주면 휘고 미워지고….세계적인 발레학교는 10세부터 시작합니다. 절대로 늦었다고 생각 마세요. 프로페셔널 세계에선 10세가 시작점이에요. "
그는 또 "무대에서만큼은 무가 되는 순간,자기가 음악과 함께 움직이는 그 순간 때문에 좋아서 하는 게 발레"라며 "저도 결혼하면,애 낳으면 절대로 안 한다고 했다가 다시 거기(무대)에 가고 싶어 못 참았다"고 했다. "발레는 인생을 얘기하는 거죠.발레리나의 목표는 결국 예술성이고.외국에서는 예쁜 몸매와 테크닉보다 예술성을 봅니다. 우리 발레의 수준이 세계 콩쿠르에서 상받고,테크닉이 되고,몸매도 되지만 이제 더 좋은 작품을 만나 진짜 예술의 경지로 올라가야 하는 시기가 왔다고 봐요. 전 이렇게 말해요. 무대에서는 발레에 미치지만 무대 밖으로 나가면 인생 속으로 들어가라.사랑이 있고 아픔이 있다. 그걸 표현해라."
그는 앞으로 발레학교를 만드는 게 꿈이라고 말했다. "창작발레도 많이 만들어야 하지만 제 생각에는 발레학교가 꼭 필요해요. 한국에서 너무 놀란 것은 사교육비가 비싸 발레를 배울 수 있는 사람이 한정돼 있다는 거예요. 10세부터 18세까지 다닐 수 있는 학교가 있어야 합니다. 세계적으로 봐도 발레단보다 국립발레학교가 먼저 생기지요. 우린 거꾸로예요. 기숙사 학교에서 일반 교육도 하면서 중 · 고교 과정 거치고 컴퍼니(전문 발레단)에 입단할 수 있고 대학에도 갈 수 있는 그런 학교가 필요해요. 정부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가 고민할 때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