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도의 실경산수 붓끝에서 노닐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소치·미산·남농 '운림산방 3대전'에 1000여점 전시
19세기 남종화의 거장 소치 허련(許鍊 · 1808~1893년)을 시작으로 아들인 미산 허형(許瀅 · 1862~1938년),손자 남농 허건(許楗 · 1908~1987년),남도 화단의 거목인 의재 허백련(許百鍊 · 1891~1977년),임전 허문(許文 · 1941~현재),허진(許鎭 1962~현재).
남도 최고의 예맥인 허씨 가문은 한국 미술사에 빛나는 족적을 남겼다. 소치는 추사 김정희의 제자로 남종화를 한국적인 화풍으로 발전시키는 데 크게 기여한 인물.1856년 추사가 세상을 뜨자 고향 진도로 낙향해 운림산방(雲林山房)을 짓고 화업에 전념했다.
ADVERTISEMENT
소치에서 시작된 200년간의 허씨 가문 예술세계를 통해 근 · 현대 한국 미술에서 남종화의 수용과 전개 양상,국내 화단에서 차지하는 운림산방 화맥의 역사적 성격과 미래 등을 가늠할 수 있는 기회다.
소치는 '허모란(許牡丹)'이란 별명이 붙을 정도로 모란에 집착하며 남다른 기량을 보여줬다. 이번 전시에 출품될 소치의 '석모란'(88×41㎝)은 아담하면서도 풍성한 모란의 모습을 힘 있는 운필법으로 그린 작품이다. 붓자국마다 활력이 넘쳐난다.
ADVERTISEMENT
1940년대에 금강산만 열두 번 올랐다는 남농의 실경 산수화도 80여점이나 나온다. 1972년 그린 '추효군도(秋曉群島)'는 추색이 내려앉은 섬의 산과 나무,밭을 그린 작품.아름다운 남도의 풍경이 남농의 붓에 의해 살아났다.
특히 남농은 '삼송도(三松圖)'로 대표되는 소나무 그림을 잘 그렸다. 남종화의 인기에 힘입어 운림산방을 재건한 후 1970년대 시작한 소나무 그림은 서울에서도 널리 유통됐다. 이번 전시에서는 1970년대 대표작인 '삼송도' 한 점을 만날 수 있다. 1938년작 '춘하추동',1936년작 '추강어락(秋江漁樂)'은 소치나 미산의 영향으로 정형 산수를 그리던 그가 실경 정신에 입각해 속도감 있는 갈필과 점묘법으로 신남종화풍을 발전시킨 과정을 짐작케 하는 작품들이다.
ADVERTISEMENT
이번 전시를 기획한 박정준 인사전통문화보존회장은 "화남의 일원으로 뭉뚱그려져 실제보다 평가절하돼온 허씨 일가의 예술 세계를 한국 미술이라는 지평에서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02)722-2211
김경갑 기자 kkk10@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