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신증권은 29일 한화오션의 목표주가를 9만원에서 10만원으로 높였다. 저가 수주 물량의 매출 인식 비중이 점차 감소해 이익이 늘어날 것이란 전망에서다. 다만 단기적으로 봤을 때, 산업은행의 블록딜(시간 외 대량매매) 영향으로 주가 조정은 불가피할 것으로 봤다.이 증권사 이지니 연구원은 "수익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카타르 1차 호선의 비중은 올해 연간 매출의 19~20%를 차지할 것"이라며 "2차는 하반기부터 반영될 것으로 예상돼 수익성은 하반기로 갈수록 점차 개선될 전망"이라고 했다.이어 "6500t급 플로팅(부유식) 크레인 및 플로팅 도크를 신규 도입할 예정이다. 해양은 2기에서 4기까지, 상선은 기존 36~40척에서 40~44척 수준까지 생산 능력을 늘리며 건조 효율성이 대폭 향상될 것"이라고 추정했다.1분기 영업이익은 2586억원을 기록했다. 시장 기대치를 1000억원 이상 웃돌았다. 매출액은 3조143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7.6% 늘었다. 매출액은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에 부합했다.실적에 대해 이 연구원은 "전 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액은 소폭 감소했다. 조업일 수 감소, 해양사업 부문의 프로젝트가 마무리됐기 때문"이라며 "저가 수주 컨테이너선 매출 인식 비중 축소, 고부가가치선인 액화천연가스(LNG)선 비중 확대로 영업이익이 늘었다. 300억원 규모의 환차익도 반영됐다"고 설명했다.다만 산업은행의 블록딜 여파로 주가는 단기 조정 국면에 진입할 것으로 봤다. 산업은행은 한화오션 지분을 매각하기 위한 수요 예측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은행의 한화오션 지분율은 19.5% 수준이다. 일부를 먼저 매각하고 장기적으로는 나머지 지분도 전량 매각할 방
뉴욕증시의 3대 지수 흐름이 엇갈렸다. 다우·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올랐고, 나스닥 지수는 소폭 하락했다. 다만 등락폭은 크지 않았다. 주요 빅테크 기업의 실적 발표가 예정된 가운데 미국과 중국 간 무역협상이 큰 진전을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28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14.09포인트(0.28%) 오른 4만227.59에 거래를 마감했다. S&P500지수는 전장보다 3.54포인트(0.06%) 상승한 5528.75, 나스닥 지수는 16.81포인트(0.1%) 밀린 1만7366.13에 장을 마쳤다.이날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무역협상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언급했다. 언론 인터뷰에서 미국과 중국 간 협상을 재개하기 위해 중국 측에 전화할 계획이 있냐는 질문을 받자 "중국과 관련해선 어떻게 될지 두고 봐야 한다"며 "이는 중요한 문제"라고 말했다. 이어 "중국 측에서도 지금 상황이 지속 가능하지는 않다고 보고 있을 것"이라며 "언젠가 그들이 우리에게 전화를 걸어올지도 모른다"고 말했다.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최근 전화 통화를 했으며 미국은 중국과 무역협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거듭 밝힌 바 있다. 베선트의 이날 발언은 트럼프의 발언과 결이 다르다.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도 이날 "내가 아는 한 두 정상 사이에 전화 통화가 없었다"며 중국은 현재 미국과 관세 협상을 진행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마찬가지로 트럼프의 발언을 정면 반박했다.바클레이즈의 조너선 밀러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미·중 무역 갈등이 다소 완화하는 조짐"이라면서도 "현재로서는 대
※한경 마켓PRO 텔레그램을 구독하시면 프리미엄 투자 콘텐츠를 보다 편리하게 볼 수 있습니다. 텔레그램에서 ‘마켓PRO’를 검색하면 가입할 수 있습니다. 섬유·의류 관련주가 최근 반등하고 있다. 미국발 관세 공포와 경기 침체 우려 등으로 부진했으나 올 6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내수 소비 회복 기대 등이 커지며 소폭 회복세다. 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섬유·의류' 지수는 지난 9일 연저점(201.08)으로 하락한 뒤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최근 2주(4월14일~28일) 사이에 7.49% 올랐다.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4.77%) 상승률을 웃돌았다. '섬유·의류' 지수의 시가총액 비중이 가장 높은 F&F가 16.50% 급등했다. 이어 여성복 브랜드 '베스띠벨리'를 보유 중인 신원(11.30%), 유니켐(6.73%), 일신방직(6.72%), 한섬(6.49%) 등 구성종목들이 줄줄이 강세를 나타냈다. 구성 종목 외 기업인 코오롱인더(8.19%), 한세실업(3.45%), 영원무역(3.44%) 등도 소폭 반등했다.섬유·의류 업종은 재량 소비재로 경기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다. 경제가 호황일 때 의류 소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경기 침체 시 소매 판매가 감소하면서 타격을 입는 경우가 많아서다. 오는 6월 초 대선 앞두고 내수 소비 부양책이 나오면서 단기 주가 상승 모멘텀(동력)이 기대되고 있다. 최근 추가경정예산안(추경)이 국회 통과를 앞두고 있어 소비 심리가 회복될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주요 의류 수출국으로 꼽히는 중국 내수 소비가 살아나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이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중국 의류·신발 등 소매판매는 3869억위안(약 76조3400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