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계기업, 일반공모 가장한 편법증자 '투자주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청약자 50인 미만 대부분
증자후 1년내 퇴출社도 많아
증자후 1년내 퇴출社도 많아
한계기업들이 일반공모를 가장한 편법 유상증자를 남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금융감독 당국은 상장사들의 일반공모 유상증자 때 심사를 한층 더 강화하기로 했다.
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07년 이후 실시된 일반공모 유상증자 203건 중 청약자 수가 100인 미만인 경우가 69건(34%)에 달했다. 공모 청약자 수가 50인 미만인 경우도 46건(22%)으로 나타나 사실상 3자 배정 증자와 다름없는 일반공모가 상당한 것으로 조사됐다.
금감원은 상당수 상장사가 일반공모를 가장해 증자를 진행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3자 배정 증자는 신주 발행가액의 할인율이 10% 이하로,일반공모(30% 이하)보다 훨씬 낮고 보호예수 등의 규제가 있다는 점 때문에 이 같은 편법 일반공모를 진행했을 개연성이 높다는 게 금감원 측의 설명이다.
일반공모는 기존 주주들의 신주인수권을 인정하지 않고 주가 희석화를 초래하는 증자 형태지만 2008년부터 급증하는 추세다. 일반공모 증자는 2008년 52건(8376억원)에서 지난해 116건(2조9220억원)으로 세 배 이상으로 급증하며 3자 배정 증자 규모를 앞질렀다. 3자 배정 증자는 같은 기간 51건(9860억원)에서 65건(1조2389억원)으로 소폭 늘었다.
일반공모를 진행한 상장사 중 상당수는 재무 구조가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공모 당시 자본잠식 상태인 경우가 총 43건(21.2%)에 달했고,12건은 잠식률이 50%를 넘었다.
일반공모를 가장한 편법 증자는 자금이 납입돼도 당초 용도대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다고 금감원은 강조했다. 이로 인해 일반공모 이후 1년 이내 22개사가 상장폐지됐고,11개사는 횡령 사건이 발생했다.
금감원은 이에 따라 자금 사용목적 등 증권신고서 기재 내용의 적정 여부를 면밀히 심사할 방침이다. 또 증자 이후 자금 집행 내역을 감시해 횡령 등 불법 · 편법사용 행위를 철저히 추적하기로 했다. 최영수 금감원 기업공시국 팀장은 "투자자들이 자본잠식이나 매출 급감 등 재무구조가 부실하거나 최대주주,경영진이 자주 바뀌는 한계기업의 일반공모 증자 청약에 대해선 신중하게 투자를 결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조진형 기자 u2@hankyung.com
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07년 이후 실시된 일반공모 유상증자 203건 중 청약자 수가 100인 미만인 경우가 69건(34%)에 달했다. 공모 청약자 수가 50인 미만인 경우도 46건(22%)으로 나타나 사실상 3자 배정 증자와 다름없는 일반공모가 상당한 것으로 조사됐다.
ADVERTISEMENT
일반공모는 기존 주주들의 신주인수권을 인정하지 않고 주가 희석화를 초래하는 증자 형태지만 2008년부터 급증하는 추세다. 일반공모 증자는 2008년 52건(8376억원)에서 지난해 116건(2조9220억원)으로 세 배 이상으로 급증하며 3자 배정 증자 규모를 앞질렀다. 3자 배정 증자는 같은 기간 51건(9860억원)에서 65건(1조2389억원)으로 소폭 늘었다.
일반공모를 진행한 상장사 중 상당수는 재무 구조가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공모 당시 자본잠식 상태인 경우가 총 43건(21.2%)에 달했고,12건은 잠식률이 50%를 넘었다.
ADVERTISEMENT
금감원은 이에 따라 자금 사용목적 등 증권신고서 기재 내용의 적정 여부를 면밀히 심사할 방침이다. 또 증자 이후 자금 집행 내역을 감시해 횡령 등 불법 · 편법사용 행위를 철저히 추적하기로 했다. 최영수 금감원 기업공시국 팀장은 "투자자들이 자본잠식이나 매출 급감 등 재무구조가 부실하거나 최대주주,경영진이 자주 바뀌는 한계기업의 일반공모 증자 청약에 대해선 신중하게 투자를 결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조진형 기자 u2@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