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닷컴]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올해 1/4분기에 의약품 시판을 위한 심사허가를 마쳤거나 신규로 심사요청이 들어온 187건을 분석한 결과 이 중 고혈압치료제는 145건,고지혈증치료제는 20건 등이었으며 두가지 이상 성분의 복합제는 71건(38%)으로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식약청은 “국내 제약사는 신약개발보다는 적은 개발비용으로 단기간에 제품을 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복합제 개발에 관심을 기울이면서 신규허가가 증가 추세에 있다”며 “금년도 1/4분기에 국내 제약사들이 임상시험을 실시하기 위해 신청해 승인받는 임상시험계획(변경)승인 심사 총 27건 중 복합제는 절반에 가까운 13건으로 이를 반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복합제는 주성분의 상호보완작용으로 효과는 올라가고 부작용은 감소되며 단일제를 따로 복용할 때보다 건강보험 약제비 절감 측면에서도 경제적이다.예컨대 칼슘채널차단제 계열인 암로디핀과 안지오텐신수용체저해제인 로사르탄 복합제(한미약품 아모잘탄정 등)를 투여할 경우,각각의 단일제를 투여하는 것보다 보험약가로서 약 27% 저렴하다.

고혈압치료제는 작년에 1조1000억원의 시장을 형성했으며 이 중 복합제는 약 1800억원으로 전체 고혈압치료제 시장의 16%를 차지하고 있다.복합제의 시장 규모는 2005년도와 비교할 때 2배 이상 증가했다.

대표적인 고혈압 치료제의 복합제로는 대웅제약 올메텍플러스(올메사르탄+하이드로클로로치아자이드),한국베링거인겔하임 미카르디스플러스(텔미사르탄+하이드로클로로치아자이드) 등을 꼽을 수 있으며 오리지널 복합제의 재심사 기간이 만료됨에 따라 제네릭의약품의 신규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다.

정종호 기자 rumb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