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닷컴] 정부는 무선 인터넷을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무선랜 이용지역을 연말까지 2배로 늘리기로 했다.또 스마트폰 노트북 등 단말기의 종류에 상관없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통합요금제를 도입키로 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8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4차 국가고용전략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미디어산업 발전전략을 보고했다.

방통위는 스마트폰 활성화를 위해 인프라 확충에 나서기로 했다.이에 따라 KT는 무선랜 이용지역을 현재 1만3000여개 지역에서 연말까지 2만7000여개로 확대할 방침이다.SK텔레콤 LG텔레콤 등도 무선랜 이용지역을 늘려나갈 계획이다.와이브로 제공지역도 올해 5대 광역시로 늘리고 내년에는 전국 84개 도시로 확대한다.통신 3사는 무선랜과 와이브로 확대를 위해 내년까지 4700억원을 투자키로 했다.

스마트폰 요금제도 개선된다.스마트폰 정액요금제 가입자가 데이터 사용량을 다 쓰지 못한 경우 잔여량을 이월할 수 있도록 요금제를 개선키로 했다.또 하나의 데이터 요금상품에 가입하면 스마트폰 노트북 등 단말기의 종류나 숫자에 상관없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통합요금제를 도입키로 했다.

방통위는 갈라파고스 규제로 꼽히는 본인확인제도 개선키로 했다.악성댓글 차단을 위해 2007년 7월 도입한 이 제도는 구글 등 해외사업자와의 규제 형평성 문제를 낳고 있다.방통위는 연말까지 개선안을 마련하고 필요할 경우 전기통신망법 개정도 추진할 계획이다.

방통위는 이같은 미디어 선진화를 위해 향후 5년간 4조6928억원(민간투자 포함)을 투자하기로 했다.정부는 고품격 실감방송,미래 인터넷,모바일 통합망,스마트 스크린 등 미래 유망사업의 연구개발(R&D)에 5000억원을 지원키로 했다.KT SK텔레콤 LG텔레콤 등 민간사업자들은 4조1928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박영태 기자 py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