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1일 ▲"북 화폐개혁 실패..체제붕괴 멀지 않았다" - "지원받기 위해 6자회담 복귀 서두를 것" 북한이 화폐개혁 실패로 급격한 인플레 등 경제가 파탄 위기에 빠졌다는 분석이 한국경제신문 1면에 소개됐다. 또 북한 정권이 6자 회담 복귀를 통해 국제사회의 경제지원을 이끌어내는 방법만이 위기를 극복하는 길이라는 분석도 함께 소개됐다. ▲하남 감일 등 보금자리 5곳 추가 - 3차지구, 8만7800채 공급 보금자리주택 3차지구로 하남 감일, 성남 고등, 광명·시흥 등 5곳이 선정됐다. 보금자리주택 8만8천 채를 포함해 총 12만채 가량 주택이 지어지며 2차에 비해 면적은 2.4배이다. ▲삼성생명 공모가 9만~11만5천원 제시 - 내달 3~4일 4443만주 청약 삼성생명 당초 예정대로 오는 5월 12일 상장하기로 했다. 회사가 제시한 주당 공모가 9만~11만5천원으로 예상치보다 낮아 시중 자금이 10조원 이상 대이동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전력 과소비 가전 6.5% 개별소비세 - 병·의원 등 현금영수증 의무화 4월부터 에어컨 냉장고 TV 드럼세탁기 등 4개 가전제품 중 전력소비량 많은 제품에 개별소비세가 부과돼 판매가격이 6.5% 오른다. 또 변호사 세무사 병·의원 등 전문직 종사자들은 30만원 이상 현금거래 때 소비자 요구가 없어도 현금영수증을 발급해야 한다. ▲ "한국, G20 의장국 걸맞는 변화 있어야" - 김 총재"위기극복 국제공조 중요" 이병박 대통령이 김중수 신임 한국은행 총재에게 "G20 의장국 중앙은행이라는 위상에 걸맞게 한은을 바꾸라"고 강도 높게 주문했다. 이에 대해 김 신임 총재가 "위기극복을 위해 국제공조가 중요하다"고 답해 출구전략 시행이 상당 기간 늦춰질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제약업계, 새 약가제도 '살아남기' - M&A 큰 장 선다 올해 제약업계 M&A 시장 첫 매물인 삼천리제약의 인수후보가 동아제약으로 압축되면서 인수전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했다. 또 삼천리제약 매각이 성사되면 이를 계기로 저가구매인센티브제도 도입 등 경영환경이 변화된 제약업계에 M&A 돌풍이 불어닥칠 것이라고 예측했다. ▲ 김정일 곧 방중..이르면 오늘 청와대 당국자가 김정일 방중이 상당히 임박했다고 밝힌 가운데 조선일보는 이르면 오늘인 4월 1일에서 3일쯤이 방중 시기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천안함 교신내용' 선별적 공개 검토 군 당국이 천안함과 서해 제2함대 사령부 간 교신 내용 가운데 군사작전과 관련된 내용을 제외하고 폭발과 침몰에 관한 내용만 정리해 발표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햇다고 조선일보가 보도했다. ▲기초수급자 대상 4만여 명 늘린다 보건복지부가 기초수급자 선정시 부양의무자 소득 기준을 완화하기로 하면서 기초수급자 대상이 4만 명가량 늘고 매년 420억원의 예산이 들어갈 것이라고 보도했다. ▲ 신종플루 1년..'대유행' 사실상 끝나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던 신종 플루 위기단계가 주의에서 관심으로 내려감에 따라 첫 환자 발생 11개월 만에 사실상 유행이 끝나고 백신 접종도 어제부로 종료됐습니다. ▲ "미국, 재정지출-저금리로 버티는 중" 미국 마틴 펠드스타인 하버드대 경제학과 교수가 미국이 대규모 재정지출과 유례 없는 저금리로 버티고 있다며 상황에 따라 더블딥에 빠질 위험도 적지 않다고 말했다고 동아일보가 보도했다. ▲ 환율 주권론자 '최틀러' 경제수석 귀환 최중경 주필리핀대사가 대통령경제수석비서관으로 발탁되면서 동아일보는 정부가 경기 부양과 수출 증대에 드라이브를 걸 것이라고 전망했다. ▲ 아이패드 vs 전자책 단말기 애플의 아이패드가 미국에서 3일 판매를 시작하면서 전자책 시장이 본격 개화와 함께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됐다고 한겨레가 보도했다. ▲ 개인빚 1754만원..1인당 소득 80% 개인이 금융기관에 진 빚이 사상 처음으로 1인당 국민소득의 80%를 늘어, 이자부담과 민간소비 위축으로 이어져 경기회복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유주안기자 jayou@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