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건강검진자 분석결과

2008년 건강검진을 받은 사람 셋 가운데 한 명은 비만인 것으로 집계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은 2008년 건강검진자료를 분석한 결과 건강검진 수검자 988만명 중 체질량지수(BMI) 25.0 이상인 비만인이 324만명(32.8%)으로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체질량 지수는 몸무게(Kg)를 키(M)의 제곱으로 나눈 수치이다.

비만인 324만명 중 체질량지수가 25.0 이상~30.0 미만인 고도 비만인은 277만명이었다.

또 체질량 지수 30.0~40.0 미만인 비만인은 45만명, 40.0 이상 비만인은 2만3천500명으로 파악됐다.

반면 저체중인(18.5미만)은 47만명으로 4.8%에 불과했다.

체질량지수가 25.0 이상인 비만인을 성별로 분류하면 남성의 비만인 비율은 38.1%로서 여성 비만인 비율(25.9%)의 1.5배 수준이었다.

연령별로는 남성의 경우 비만인 비율이 50대(40.7%), 40대(40.5%), 30대(40.2%), 60대(36.7%), 20대(30.9%) 순으로 모든 연령층에서 30% 이상 비만비율을 보였다.

여성은 60대(43.2%), 70대 이상(38.5%), 50대(34.7%), 40대(24.4%), 30대(13.5%), 20대(8.5%) 순으로 나타나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비만인 비율이 높지만 20ㆍ30대 비만율은 남성보다 다소 낮았다.

최근 3년 추이를 보면 비만인 비율은 2006년 29.7%, 2007년 29.8%에서 2008년 32.8%로 전년보다 3.0% 포인트 높아졌다.

지역별 비만인 비율은 주로 서울 강남ㆍ서초, 수원 영통 등 도시지역과 경남지역 일부 시군에서 낮은 비만율을 보인 반면 강원 일부 시군지역은 높은 비만율을 보였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가정의학과 최영은 교수는 최근 남성의 비만이 증가하는 이유에 대해 "남성이 여성보다 음주량이 훨씬 많고, 하루 음주량이 80g 이상인 경우 비음주 남성보다 복부 비만에 걸릴 위험이 2배 정도 높다"며 "또 만성적인 스트레스는 식욕을 높여 비만을 유발한다"고 말했다.

또 예방법에 대해서는 "스트레스 관리, 음식 외의 스트레스 해소법 마련, 적절한 수면 섭취, 규칙적인 식사, 한식 위주의 식단, 활동적인 생활 습관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세영 기자 thedopest@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