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시용 '스펙'관리 등 영향..중.고교 심해

전북지역 고교생인 A군은 올해 학기초 학급 회장 선거에 나서려다 그만뒀다.

포기했다기 보다는 '못했다'는 말이 맞다.

학교 측이 사전에 후보 자격을 '성적 상위권'으로 제한했기 때문이다.

A군은 성격이 활달해 친구들에게 인기가 많고 리더십도 있지만 성적이 뒤따라 주지 못했다.

23일 학부모와 학생 등에 따르면 신학기를 맞아 최근 일선 학교에서 회장단 선거가 한창인 가운데 일부에서 등수로 출마를 제한하거나 교사가 직접 지명하는 등의 '이상한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

대구 참교육을 위한 학부모회 문혜선 실장은 "사립학교에서는 상위 20% 성적에 들지 못하는 학생은 아예 반장이나 학생회장 선거에 나갈 수 조차 없는 분위기"라며 "교사가 학생에게 '성적도 안되는데 뭐하러 나오냐?'고 면박주는 일도 있다"고 전했다.

과거 우등생의 상징에서 한때는 공부시간을 빼앗겨 학업의 걸림돌로 여겨지기도 했던 학급 및 전교 회장에 대한 인식이 최근 또다시 많이 변하고 있다.

대학 입학사정관제 등으로 소위 '스펙' 관리가 중요해지면서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다.

이에 따라 특히 일부 중.고교에서는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에게 봉사정신, 리더십 등의 스펙을 만들어 주기 위해 학생 회장을 시켜주기도 하고 선거전도 치열해 지고 있다.

울산 모 고교 1학년의 한 학급은 전체 34명의 학생 가운데 무려 5명이 학급회장 선거에 출마해 과열 양상을 빚었다.

전국대학입학사정관협의회가 입학사정관 전형을 시행 중인 전국 47개 대학의 전형요소를 분석한 결과, 이들 대학의 본인 또는 교사 추천서 질의항목에서 창의력, 봉사정신과 함께 리더십을 평가하는 항목이 매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학부모는 이런 분위기에 편승해 자녀가 학급회장을 맡으면 입학사정관제 등에서 좋은 점수를 받을수 있는 지 학교 측에 확인하기도 한다.

한 학부모는 "국제중이나 특목고, 대학에 지원할 때까지 아이의 리더십을 보여줄 방법으로 전교회장만큼 효과적인 것도 없다"면서 "아무래도 눈에 띄기 때문에 입시를 앞두고 교사, 교장의 추천을 받을 때도 유리하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아직은 비교적 자유로울 것 같은 초등학교 학급회장 선거도 치열하긴 마찬가지지만 학부모가 겪는 과도한 부담 때문에 일부 기피하는 현상도 여전하다.

이 모(35.여.대전시 서구 둔산동)씨는 최근 학급회장 선거에 나가려던 초등학교 3학년 아들을 말렸다.

맞벌이를 하고 있는 이씨는 "주위 얘기를 들어보면 아이가 학급 회장이 되면 엄마도 학급 일에 일일이 신경을 써야 하는 등 부담감이 만만치 않다고 해 아이에게는 미안하지만 허락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전교조 대전지부 관계자는 "학교 회장단 선거는 민주주의 원칙에 따라 누구에게나 기회가 열려 있어야 한다"며 "일부 학교들이 특정 학생들을 위한 대학 입시용으로 왜곡하거나 임원 학생 부모에게 과도한 부담을 주는 잘못된 관행도 이제는 없어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국종합연합뉴스) 김종량 정찬욱 홍창진 기자 jchu2000@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