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주공산 강원.제주에 후보신청 몰려

22일 마감된 한나라당 6.2 지방선거 공모 결과에는 세종시 문제의 충격파가 고스란히 드러난다.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 추진으로 `고전'이 예상되면서 3명을 뽑는 충청권 광역단체장의 공천 신청자가 단 2명에 그쳤다.

평균 경쟁률 0.67대 1은 전국 16개 시.도지사 공모 평균경쟁률(2.75대 1)은 물론 지난 2006년 지방선거 당시 충청권 광역단체장 공모 평균경쟁률(2.67대 1)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치다.

특히 충남지사직에는 아무도 공천을 신청하지 않았다.

한나라당 소속 충남지사였던 이완구씨가 작년 12월 세종시 수정 추진에 반발해 지사직에서 사퇴한데다 수정안 추진으로 민심의 역풍이 가장 우려되는 곳이기 때문이다.

그나마 두 명의 신청자도 `현직 프리미엄'을 기대할 수 있는 박성효 대전시장과 정우택 충북지사였다.

그러나 이와는 대조적으로 현직 광역단체장이 출마하지 않는 지역에서는 경쟁률이 치솟았다.

3선 연임제한에 걸려 김진선 지사가 나오지 못하는 강원지사에는 9명의 신청자가 몰리면서 9대 1의 최고 경쟁률을 기록했다.

2006년 당시 경쟁률은 3대 1이었다.

김태환 지사가 출마를 포기한 제주지사 후보 경선에도 5명이 신청서를 내면서 2006년 때의 경쟁률인 2대 1을 가볍게 뛰어넘었다.

한나라당의 `텃밭'인 영남에는 5개 광역단체장직에 13명이 공천을 신청해 2006년 때와 똑같은 2.6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한나라당의 정치적 `불모지'인 광주, 전남, 전북의 경우에도 2006년과 마찬가지로 5명이 신청서를 내 1.67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 광역단체 3곳에도 10명이 시장.도지사 후보를 신청, 3.33대 1의 경쟁률을 보임으로써 2006년의 4대 1과 큰 차이가 없었다.

광역단체장 후보 신청자 44명 중 여성은 서울시장직에 도전한 나경원 의원이 유일했다.

최연소자는 광주시장 후보를 신청한 정용화 전 청와대 연설기록비서관으로 만 45세였고, 최연장자는 유홍렬 한나라당 전북도당위원장(전북지사 공천신청)과 현명관 전 삼성물산㈜ 회장(제주지사 공천신청)으로 나란히 만 68세였다.

전남지사 후보로 도전장을 낸 김문일(62)씨는 국가대표 테니스 선수와 감독을 지낸 이채로운 경력을 갖고 있었고, 강원지사 후보로 나선 조규형(59)씨는 멕시코와 브라질 대사를 지낸 직업외교관 출신이어서 눈길을 모았다.

서울시장 후보 공모에는 미래희망연대(구 친박연대) 김 정 의원의 남편인 곽영훈 `사람과 환경' 회장이 비공개로 신청했다가 "비공개로 할 이유가 없다"는 당의 권고에 따라 뒤늦게 공개신청으로 전환하는 해프닝이 빚어지기도 했다.

전체적으로 기초단체장.지방의원의 경우 한나라당 강세 지역인 영남권과 강원에 신청자가 몰린 반면 호남권과 충청권은 미달이 속출하는 전형적인 `동고서저' 현상이 재현됐다.

영남지역 기초단체장의 경우 경남(5.44대 1), 대구(3.75대 1), 경북(3.26대 1), 울산(3.4대 1), 부산(2.56대 1), 강원(2.56대 1)의 평균 경쟁률은 전국 평균 경쟁률(2.71 대1)을 웃돌거나 근접했다.

반면 광주지역 기초단체장 및 지방의원 신청자는 단 한 명도 없었고, 전.남북 기초단체장과 지방의원 공모 평균 경쟁률은 1대1에도 못 미쳤다.

아울러 대전, 충남. 충북 기초단체장과 지방의원 신청자도 거의 없어 평균 경쟁률 2대 1을 넘긴 지역이 단 한 곳도 없었다.

(서울연합뉴스) 김남권 정윤섭 기자 south@yna.co.krjamin74@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