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지주 차기 회장 선임과 사전검사 수검일지 유출,국민은행 IT개발팀장의 사망 문제로 불편한 관계를 이어온 금융감독원과 국민은행이 전산 회계기록 문제로 또다시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금감원은 최근 실시한 국민은행 종합검사에서 대차대조표 상의 주요 재무 계수와 전산원장의 수치가 맞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한 것으로 24일 전해졌다.

장부상 불일치 규모는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수년간 불일치 금액을 합칠 경우 100조원대에 이른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금감원은 이에 대해 "검사 과정의 사안은 공개할 수 없다"며 확인도 부인도 하지 않고 있다. 그러면서 한편으로는 전산작업 과정에 문제가 있었다는 점을 내비쳤다.

국민은행은 '해프닝'이라는 반응이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재무제표 숫자를 기록해 놓는 전산원장과 보조원장이 있는데 금감원에서 보조원장을 기록하지 않았다고 지적한 것"이라며 "다른 은행들도 마찬가지로 발생하는 사례이며 2007년 감사 때도 지적하지 않았던 문제"라고 반박했다. 그는 "대고객 관계 거래는 모두 전산원장이 있어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일축했다.

금융권 일각에서는 IT개발팀장의 사망이 이 사건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 회계 문제가 불거지고 국민은행의 고위 임원들이 줄줄이 불려와 소명하는 과정에서 실무자인 IT개발팀장이 적지 않은 심리적 부담을 받았을 것이란 얘기다.

금감원은 이 문제와 관련해 검사를 다시 나갈 계획이 있는지 여부에 대해선 "필요하면 나가게 될 것"이라며 구체적인 언급을 하지 않았다.

강동균 기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