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신증권은 관심종목의 과거 주가 흐름을 분석해 향후 주가 움직임을 전망해주는 '미래 주가 예측서비스'를 11일부터 홈트레이딩시스템(HTS) '사이보스'를 통해 제공한다. 사이보스에 접속한 후 코드번호(8536)와 관심종목을 입력하면 컴퓨터가 최근 특정 기간의 봉차트 패턴을 검색해 미래 해당 종목의 상승 · 하락 · 보합 비율 등 다양한 전망치를 보여준다.
미래에셋캐피탈은 1000억원 규모의 미래에셋증권 보통주를 취득한다고 30일 공시했다. 오는 7월 31일까지 장내에서 분할 매수할 예정이다. 이번 취득으로 미래에셋캐피탈의 미래에셋증권 보통주 지분은 32.05%에서 33.9%로 1.85%포인트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미래에셋캐피탈 측은 “미래에셋증권의 해외법인 성과 증대 가능성, 적극적인 주주환원책, 독보적인 글로벌 자산 배분 전략과 연금 경쟁력 등 펀더멘털이 강화되고 있다”며 “의결권을 추가 확보하고 최대주주로서 지배력을 강화하기 위해 주식 매입을 결정했다”고 밝혔다.미래에셋증권은 이날 9.02% 급등한 1만1850원에 마감했다. 최근 한 달간 28.46% 상승하며 5거래일 연속 52주 신고가를 기록했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해 8월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통해 매년 최소 보통주 1500만 주 소각 목표를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해 11월과 올해 2월 총 2500만 주를 소각하는 등 주주환원 3670억원과 총주주환원율 39.8%를 달성했다. 장영임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말 인수한 인도 미래에셋셰어칸의 자산관리(WM) 성과까지 반영되면 추가적인 실적 향상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최만수 기자
▶마켓인사이트 4월 30일 오전 11시 42분공작기계 전문기업 DN솔루션즈가 30일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철회했다. 글로벌 무역 분쟁 등에 따른 불확실성 고조로 해외 투자자의 투자심리가 꽁꽁 얼어붙었다.회사 측은 “대내외 금융시장 환경의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기업가치를 적절히 평가받기 어려운 측면 등 제반 여건을 고려해 잔여 일정을 취소한다”고 밝혔다. 이 회사는 희망공모가(6만5000원~8만9700원) 기준 예상 시가총액이 4조1039억~5조6634억원에 달하는 기업공개(IPO) 대어 후보였다. 올해 ‘조 단위’ 기업 가운데 수요예측에 실패해 공모를 철회한 곳은 DN솔루션즈가 처음이다.최석철 기자
상장사의 횡령·배임 관련 공시가 급증하고 있다. 횡령·배임이 발생한 기업은 최악의 경우 상장폐지될 수 있어 투자에 유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3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 들어 이날까지 28건의 횡령·배임 혐의 공시가 나온 것으로 집계됐다.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공시를 합한 결과다. 작년 같은 기간(15건)과 비교해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올해 횡령·배임 공시로 거래가 정지된 종목은 스타에스엠리츠(횡령·배임 금액 20억원)와 삼영이엔씨(369억원) 두 곳이다. 횡령·배임 금액이 자기자본 대비 각각 3.42%, 60.7% 수준이다.횡령·배임 금액이 자기자본의 5%(자산총액 2000억원 이상인 대기업은 3%) 이상이면 주식 거래가 정지된다. 별도로 임원에 의한 횡령·배임액이 자기자본의 3% 또는 10억원 이상이면 한국거래소가 상장 적격성 실질심사에 들어간다. 개선이 어렵다고 판단하면 증시에서 퇴출한다.횡령·배임 혐의 공시가 반복되는 곳은 주로 한계기업이란 지적이 제기된다. 올 들어서만 7건의 관련 공시를 낸 한국유니온제약이 대표적이다. 이 회사는 전직 임원들을 횡령·배임 혐의로 고소했다. 현재 상장폐지 위기다.앞서 거래가 정지된 테라사이언스와 웰바이오텍도 마찬가지다. 각각 169억원, 393억원 규모의 횡령·배임 공시를 했다. 상장 적격성 실질심사 사유까지 추가됐다. iM금융지주와 BNK금융지주는 자회사에서 횡령·배임이 일어났다.상장사의 횡령·배임은 경기 침체 때 증가하는 특징이 있다는 게 증권가의 설명이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진 2008년 110건, 2009년 60건이었다가 2010~2018년엔 연간 30건 안팎으로 확 줄었다. 최근 미국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