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16종 첨가물 연구결과

'환경호르몬'으로 의심되는 안식향산 등 일부 첨가물이 성호르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정부 연구결과가 공개됐다.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이하 평가원)은 합성보존료 안식향산나트륨 등 16종의 물질에 대해 '내분비계 장애물질 검색시험법'을 적용한 결과 성호르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9일 밝혔다.

안식향산과 부틸히드록시아니솔(BHA), 프로피온산에틸 등의 첨가물은 동물의 성호르몬과 유사하게 작용해 남성의 정자수를 감소시키는 등 생식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돼 왔다.

평가원은 경제협력개발기구와 공동으로 호르몬 유사 작용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검사방법인 '내분비계 장애물질 검사시험법'을 최근 개발했다.

이 방법을 적용해 환경호르몬 의심물질 16종에 대해 평가를 실시한 결과 성호르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평가원은 설명했다.

이번 연구 대상 물질은 안식향산과 안식향산나트륨, 프로피온산나트륨, 프로피온산칼슘, 파라옥시안식향산부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등 합성보존료 6종과 몰식자산프로필, 나린진, 페룰린산, BHA 등 산화방지제 4종, 프로피온산에틸과 아세토페논, 안트라닐산메틸, 아니스알데히드 등 착향료 4종, 루틴과 홍화황색소 등 색소 2종이다.

이 가운데 안식향산은 음료 등에 널리 쓰이며 파라옥시안식향산부틸 등 일부는 앞서 지난해 안전성 논란으로 퇴출되기도 했다.

평가원 관계자는 "16종의 물질 가운데 BHA 등 3종은 성호르몬 수용체와 미약한 결합력을 보였지만 새로 확립된 동물실험 결과 성호르몬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며 "식품과 의약품, 화장품 등에 쓰이는 첨가물에 대해서도 유사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tr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