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긴축 악재에 증시 또 '휘청'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내 증시가 중국 긴축 전환 우려로 또다시 출렁거렸다.
증시 전문가들은 이 같은 변동성 장세의 주요 배경으로 금융위기 이후 규제 불확실성에 민감한 투자자들이 유동성 축소 이슈에 심리적 압박을 느끼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하고 있다.
2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전날 미국증시 상승으로 순항하던 코스피지수가 오후들어 불거진 중국발 악재로 장중 1600선 밑으로 곤두박질쳤다. 마감기준으로 1600선을 하회한 것은 지난해 12월 2일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코스피200 지수선물 3월물도 전날보다 1.30포인트(0.62%) 내린 208.40을 기록하며 연중 최저치를 기록했다.
국내 일부 언론은 중국 정부가 부동산 버블을 규제하기 위한 정책 일환으로 은행들에게 '세번째 모기지 대출에 대한 금리를 올리고, 계약금도 올려 받을 것'을 요구했다는 외신 내용을 인용 보도했다.
중국 정부가 부동산 과열을 진정시키기 위해 관련 금리인상을 단행한다는 소식이 시장에서는 유동성 회수 등 긴축 전환으로 받아들여지면서 투자심리가 급속히 냉각됐다.
허재환 대우증권 연구원은 "전날 발표된 중국 PMI 지수가 8개월 만에 처음으로 하락한 상황에서 부동산 규제가 지속될 경우 경기 둔화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된 것 같다"며 "지난 1월초까지 발표된 조치들은 기존 정책들의 엄격 시행수준이었지만 이번에는 금리까지 건들이기 시작했다는 점 등이 강조되면서 투자심리를 급속히 위축시켰다"고 말했다.
허 연구원은 "다만 3차 모기지는 투기성이 강한 만큼 이번 조치 자체가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심각하지는 않을 전망"이라며 "특히 전국인민대표자대회 이후 금리 인상이 단행될 것으로 보이지만 중국 정부가 경기부양책을 함께 발표해 그 충격을 최소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반면 중국 정부나 해당 금융기관의 공식 확인을 거치지 않은 앞서가는 외신 보도로 국내 증시에 다양한 충격이 계속되고 있어 애꿎은 투자자들만 피해를 입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국내 한 증권사 연구원은 "이날 보도된 모기지금리 인상과 관련된 보도는 현지 언론을 통해서도 공식적으로 확인되지 않고 있다"면서 "이 소식이 전해질 당시 중국 상하이종합지수와 부동산 업종이 상승한 만큼 정확한 사실 관계는 좀더 확인해 봐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26일에도 중국의 지급준비율 추가 인상 소식이 전해지면서 코스피지수가 하락 반전하는 등 크게 출렁거렸지만 현재까지 지준율 추가 인상 움직임은 없는 상황이다.
김재홍 신영증권 연구원은 "금융위기 마무리 단계에서 규제 불확실성이 더욱 확대되고 있고, 증시에서 불확실성은 곧 할인요인이어서 투자자들이 매우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측면이 있다"면서 "중국 관련 악재는 그 자체 의미도 중요하지만 투자심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측면에서 주의해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변관열 기자 bky@hankyung.com
증시 전문가들은 이 같은 변동성 장세의 주요 배경으로 금융위기 이후 규제 불확실성에 민감한 투자자들이 유동성 축소 이슈에 심리적 압박을 느끼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하고 있다.
ADVERTISEMENT
코스피200 지수선물 3월물도 전날보다 1.30포인트(0.62%) 내린 208.40을 기록하며 연중 최저치를 기록했다.
국내 일부 언론은 중국 정부가 부동산 버블을 규제하기 위한 정책 일환으로 은행들에게 '세번째 모기지 대출에 대한 금리를 올리고, 계약금도 올려 받을 것'을 요구했다는 외신 내용을 인용 보도했다.
ADVERTISEMENT
허재환 대우증권 연구원은 "전날 발표된 중국 PMI 지수가 8개월 만에 처음으로 하락한 상황에서 부동산 규제가 지속될 경우 경기 둔화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된 것 같다"며 "지난 1월초까지 발표된 조치들은 기존 정책들의 엄격 시행수준이었지만 이번에는 금리까지 건들이기 시작했다는 점 등이 강조되면서 투자심리를 급속히 위축시켰다"고 말했다.
허 연구원은 "다만 3차 모기지는 투기성이 강한 만큼 이번 조치 자체가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심각하지는 않을 전망"이라며 "특히 전국인민대표자대회 이후 금리 인상이 단행될 것으로 보이지만 중국 정부가 경기부양책을 함께 발표해 그 충격을 최소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국내 한 증권사 연구원은 "이날 보도된 모기지금리 인상과 관련된 보도는 현지 언론을 통해서도 공식적으로 확인되지 않고 있다"면서 "이 소식이 전해질 당시 중국 상하이종합지수와 부동산 업종이 상승한 만큼 정확한 사실 관계는 좀더 확인해 봐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26일에도 중국의 지급준비율 추가 인상 소식이 전해지면서 코스피지수가 하락 반전하는 등 크게 출렁거렸지만 현재까지 지준율 추가 인상 움직임은 없는 상황이다.
ADVERTISEMENT
한경닷컴 변관열 기자 bky@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