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영 국방부 장관은 10일 서해 북방한계선(NLL) 해상에서 발생한 남북 해군 함정간 교전과 관련, 북한의 보복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오후 긴급 개최된 국회 국방위 전체회의에서 "북한의 보복 가능성이 있다고 보느냐"는 한나라당 유승민 의원의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그는 "그러한 가능성을 대통령에게도 보고했느냐"는 추가 질문에 대해서는 "대통령도 그 걱정을 하셨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또한 북한 경비정의 NLL 침범 의도와 관련, "아직 정확한 의도를 알 수는 없다"고 전제하고 "모든 통신을 정상적으로 받으면서 계속 (우리쪽으로) 들어온 것에 대한 의도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고, 다른 한편으로 1척만으로 심각한 도발을 계획했다고 보는 것도 쉽지는 않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군의 피해가 `사망 1명, 부상 3명'이라는 일부 언론 보도에 대해서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고, 북한 경비정의 반파 가능성에 대해서는 "반파라면 돌아가지 못했을 것이므로 반파라 할 수 없고, 일부 피해를 입은 것은 명확한 것으로 보인다"고 각각 답변했다.

김 장관은 "이번에는 침몰 보다는 NLL 밖으로 북한 경비정을 내보내는 쪽으로 했는데, 더 많은 화력을 동원했다면 분명히 침몰시킬 수 있었을 것"이라며 "적이 조준사격을 못하게끔 하는 게 1차 목표였고 그 목표를 달성했으므로 더 사격을 안한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나아가 그는 "작전 결과를 다시 한번 분석, 야전예규, 교전수칙 등에 있어 수정 보완할 것을 챙겨 더욱 완벽한 작전을 하도록 할 것"이라며 "또한 내일 팀을 보내 상황전파 등을 샅샅이 점검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범현 기자 kbeom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