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남선박 해당기관서 조사중"..정부, 北에 조기송환 촉구
北어선도 서해 NLL 월선..당국, 北경비정이 예인토록 허용

선원 4명을 태운 우리 측 어선 한 척이 30일 오전 동해 북방한계선(NLL)을 월선했다가 북한 경비정에 의해 장전항으로 예인됐다.

또 이날 오후 북측 어선이 서해 NLL을 넘어 내려오는 상황이 발생했지만 우리 당국은 예인 등 조치를 취하는 대신 북측 경비정이 예인해 가도록 허용했다.

통일부와 군 당국에 따르면 선원 4명이 탑승한 29t급 오징어 채낚이 어선 '800 연안호'(선장 박광선.54.거진 선적)가 이날 오전 5시5분께 강원도 제진(옛 저진) 동북쪽 37km 상의 동해 NLL을 13km가량 넘어갔다가 북한 경비정 1척에 의해 예인됐다.

북측 수역으로 진입한 연안호는 오전 6시20분께 속초의 어업정보통신국에 "GPS(인공위성항법장치) 고장으로 복귀항해 중 북한 경비정을 발견했다"라고 교신했으며 우리 함정은 상선공통망을 통해 교신 내용을 포착했다.

연안호 선장 박씨는 어선통신망을 통해 "북한 배에 조사받는다"고 짤막하게 마지막 교신을 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오전 6시27분께 북한 경비정 1척에 의해 예인되어 가는 모습이 우리 함정에 포착됐다.

해군은 오전 6시30분께 고속정 2척을 긴급 출동시켰다.

이어 우리 측은 오전 6시44분 북한 경비정에 대해 "우리 어선이 항로를 이탈해 귀측으로 넘어갔다.

즉각 남하조치를 취해주길 바란다"고 경고통신을 한데 이어 오전 7시16분께 "우리는 인도적 차원에서 6월30일과 7월5일 귀측 어선을 돌려보냈다.

귀측도 우리 어선을 돌려보내기 바란다"라고 재차 통신을 했으나 북측은 두 차례 모두 응답하지 않았다.

군 관계자는 "북한으로 넘어간 어선은 전날 오후 1시30분 강원도 거진항을 출항해 레이더 탐지 밖의 동해 먼바다에서 오징어잡이 조업을 하다가 GPS 고장으로 항로를 이탈, 북한 수역으로 진입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어선이 북쪽 수역으로 진입할 당시 파고는 1m, 시정은 11km로 해상 날씨는 양호했던 것으로 알려졌으며 오전 9시30분께 북한 장전항으로 예인됐다.

사건 후 우리 당국은 오전 8시50분에 남북 해사당국간 통신 채널을 통해 선원과 선박의 조속한 송환을 촉구하는 전통문을 발송했으며 북측은 오후 3시께 같은 채널을 통해 "현재 해당기관에서 조사하고 있다"는 입장을 통보했다.

연안호의 NLL 월선과 관련, 천해성 대변인은 "우리 측 선박이 GPS 고장으로 추정되는 문제로 인해 월선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연안호에는 선장 박씨 외에 기관장 김영길(54), 선원 김복만(54), 이태열(53) 씨 등 4명이 승선했다.

또 공교롭게도 이날 오후 5시13분께 북한 어선 한척이 서해 NLL을 넘어 연평도 서남방 12.9km 해상까지 내려왔다가 북측 경비정과 함께 돌아간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출동한 우리 경비정은 통신망을 통해 "NLL을 침범한 귀측 어선은 우리가 처리할테니 즉각 북측으로 북상하라"고 경고통신을 보낸데 이어 곧바로 2차 통신을 통해 "즉각 북상을 하지 않으면 경고 사격하겠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모든 상황은 귀측의 책임이다"고 재차 경고했다.

하지만 북한 경비정은 북한 어선이 있던 NLL 남방 4.4km 지점까지 내려와 오후 5시35분께 북한 어선을 예인하기 시작, 오후 6시4분께 NLL을 넘어갔다.

군 관계자는 월선한 북측 어선 및 경비정에 대해 예인 등 물리적 조치를 취하지 않은 데 대해 "고장난 어선인데도 우리가 무리하게 기동할 경우 충돌의 우려가 있어 계속해서 지켜봤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이상헌 김승욱 기자 threek@yna.co.krhoney@yna.co.krksw08@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