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가 일부 금융사의 실적 호전에도 불구하고 미국 금융산업은 응급실에서 나온 만성질환자라고 할 수 있다. "

신현송 미 프린스턴대 경제학 교수는 14일 뉴욕 맨해튼에서 주미한국상공회의소(코참) 주최로 열린 세미나에서 "금융이 아직 실물경제 성장을 제대로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금융위기가 끝났다고 볼 수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골드만삭스가 2분기 34억달러의 순익을 낸 데 대해 "전통적인 은행업이 아닌 시장 중심의 영업에 의존해 수익을 낸 것"이라며 1980년대 이후 800배 급신장한 증권 부문의 30년 거품이 해소되는 과정이어서 투자은행 중심의 금융사들이 계속 수익을 내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주식중개와 도매금융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아 골드만삭스의 깜짝 실적이 지속가능하지 않을 것이라는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의 분석과 맥을 같이하는 것이다.

신 교수는 금융 시장이 여전히 어려움을 겪는 요인으로 자동차 신용카드론 등 소비자금융의 증권화 시장이 풀리지 않고 있는 점을 꼽았다. 또 상업은행들이 대출을 꺼리는 현상도 해소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상업은행이 대출보다는 위험회피 차원에서 현금을 중앙은행에 예치하고 대신 중앙은행이 금융중개 기능을 떠맡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 교수는 가계 부문에서도 상당 기간 더 디레버리지(차입 축소)를 통한 불균형 해소 과정을 거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 가계는 주택 가격이 상승했을 때 얻은 2차 주택담보대출(홈 에쿼티론)로 자동차를 사거나 주택을 개량하면서 빚 부담이 커졌다는 것이다. 미 달러 가치도 재정적자로 인해 장기적으로 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출구전략과 관련해선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양적완화 정책에 따라 늘린 자산을 정리하는 데는 별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진단했다. 기업어음(CP) 매입 등 대부분의 유동성 지원 프로그램은 만기가 되면 저절로 해소되는 데다 모기지증권(MBS) 등 장기 채권은 시간을 두고 서서히 매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신 교수는 "FRB가 조만간 금리를 올릴 것이란 전망은 FRB의 기능을 잘못 안 결과"라고 지적했다. 이 밖에 신 교수는 중앙은행이 거시 감독 기능을 갖는 게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뉴욕=이익원 특파원 ik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