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말하는 '행복도시'는 행정중심복합도시(세종시)의 줄임말이다. '제2의 행정수도'라 보면 된다.

행복도시는 엄청난 산고(産苦)를 겪고 태어났다. 노무현 정부가 집권 첫 해부터 행정수도 이전을 강력 추진,2003년 12월 신행정수도건설특별조치법을 제정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다음 해인 2004년 10월 헌법재판소에서 위헌 판결을 받았다. 이에 따라 국회 청와대 대법원 헌법재판소 정도만 남고 나머지 정부 부처를 옮기는 쪽으로 계획이 전면 수정됐다. 결국 2005년 3월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을 위한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사업이 본궤도에 올랐다.

행복도시는 행정구역상으로는 충남 연기군과 공주시 일대에 조성된다. 총 295.9㎢(예정지역+주변지역)로 서울 면적(605㎢)의 절반에 달한다. 2030년까지 총 22조5000여억원을 투입한다. 2007년 7월 착공 이후 6월 말 현재까지 5조2000억원(23%)이 집행됐다. 주로 터를 닦는 부지 조성 공사를 진행 중이며 정부청사 부지 조성 공사가 공정률 46%로 가장 빨리 진행되고 있다. 정부기관 이전은 2012년부터 2014년까지 3단계에 걸쳐 추진된다.

행복도시는 중앙행정,문화,국제교류,도시행정,대학 · 연구,의료 · 복지,첨단 지식기반 등 6개 주요 도시 기능을 환상형 링을 따라 분산 배치시킨다. 이른바 '중심이 없는 도시',형평성의 철학을 담은 도시라고 한다. 주거환경 측면에서는 탁월하다. 국내 최고의 친환경 도시로 만든다는 목표 아래 공원 · 녹지율을 분당(27%)의 두 배인 52%로 잡았다. 인구밀도(㏊당)도 분당(197명) 과천(267명)에 비해 훨씬 적은 68명에 불과하다.

그러나 정부 여당과 야당의 미묘한 입장 차이 등으로 행복도시의 명칭과 지위,행정구역이 아직 법률로 정해지지 않아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상당한 논란이 예상된다.

지방선거 때까지 세종시가 특별자치시로 법적 지위를 얻지 못하면 연기군수가 세종시를 관할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청원군이 부용면의 세종시 편입을 반대하는 등 행정구역을 놓고 이견이 맞서기도 한다.

장규호 기자 daniel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