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세계를 공포에 몰아넣었던 멜라민 분유 파동이 가시기도 전에 석면이 들어간 의약품과 화장품이 소비자들을 불안하게 하고 있다. 병을 고치기 위해 먹는 의약품과 예뻐지라고 피부에 바르는 화장품에 발암 물질이 들어가다니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어렵다. 게다가 이들 의약품은 당국의 조치에도 아직까지 거의 회수되지 않은 채 방치돼 있다고 한다.

과거와 달리 현대는 철저히 효율과 경제성을 추구하기 때문에 세계화,규격화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래서 상대적으로 값싼 원료를 수입해 제품을 만들고,대량 생산 체제를 갖추는 것이다. 문제는 제품의 안전에 이상이 생기면 불특정 다수가 피해를 당한다는 데에 있다. 예컨대 모유를 먹일 때는 나만 조심하면 그만이었다. 그러나 분유라는 속도와 편리성을 얻은 만큼 사고가 날 위험도 커지고,위해 요인의 전파 속도도 빨라졌다.

선진 사회일수록 원하는 것을 빠르게 얻을 수 있고,생활하기 편리하다. 따라서 기업이 추구하는 것도 바로 이 효율성과 편리성이다. 편리하고 효율이 높으면 그 대가로 이윤을 많이 얻기 때문이다. 그러나 빠르고 편리할수록 안전도는 낮아지는 게 일반적이다. 전기,통신,교통,승강기,원자력,건설,식의약품,가스 등이 모두 그렇다. 그래서 품질을 볼 때 안전성을 따지지 않을 수 없다. 안전도가 낮으면 사람이 다치고 사회적으로 큰 비용을 물게 된다. 삼풍백화점과 성수대교 참사는 안전을 희생하며 이윤을 추구하다 엄청난 대가를 치른 대표적인 사례다.

제품이나 서비스는 소비자의 안전이 그 중심에 있어야 한다. '주의:부작용'이란 경고 문구로 소비자에게 안전을 떠넘기기 전에 공급자가 최선을 다해 안전한 제품을 보장해야 한다는 말이다. 우리나라가 명실상부한 선진국이 되려면 이제 품질의 잣대를 효율성과 편리성에서 찾을 게 아니다. 시급히 안전성으로 옮겨야 한다. 안전에는 개별적이고 직접적인 것도 있지만 환경처럼 전체적이고 간접적인 부문도 있다. 지금까지 산업 사회의 편리와 효율은 환경을 먹고 자랐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결국 환경 안전을 무시한 대가로 지구 온난화라는 공유지의 비극을 맞게 됐다. 정부가 녹색 성장 드라이브를 거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국민의 안전을 담보로 한 성장이나 발전은 더 이상 지속할 수 없다. 또 소비자 안전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과거처럼 임시변통으로 해결하려 든다면 더 큰 위해 요인을 부를 수 있다. 주변의 위험 요소를 미리 점검해 알려 주고,객관적인 위해 기준을 제정하는 정교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기업은 소비자센터를 소비자안전센터로 바꾸고,리콜 제도를 더 활성화해야 한다. 정부도 부처별로 흩어져 있는 안전 감시 기능을 통합해 안전 전문 부처 설립을 검토해야 할 때다.

임인배 한국전기안전공사 사장 riminbae@kesco.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