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과장 & 李대리] 기러기 직장인들, '외톨이' 스트레스 54%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러기 직장인'들이 사는 법
직장인 693명 설문…"건강 해치고 '두집살림' 비용 부담"
직장인 693명 설문…"건강 해치고 '두집살림' 비용 부담"
보고 싶은 사람을 보지 못하는 것만큼 고통스러운 일은 없다. 그리움의 대상이 사랑하는 남편이나 아내,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자식이라면 고통은 몇 배 더 커질 수밖에 없다. 이젠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기러기 부부들의 얘기다. 떠난 사람이든,홀로 남겨진 사람이든 기러기 부부가 겪는 외로움은 말로 표현하기 힘들다. 직장인들은 기러기 부부들이 겪는 애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시장 조사 전문업체인 트렌드모니터가 직장인 69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기러기 부부의 단점을 무엇이라고 보는가'라는 질문에 전체의 54.4%가 '가족과 떨어져 사는 데 따른 정신적 스트레스'를 꼽았다. 이어서 '혼자 남는 배우자의 불규칙한 생활'(26.7%)과 '두 집 살림으로 인한 과다 비용 지출'(15.7%)이란 대답이 뒤를 이었다. '건강을 해친다'는 답변도 3.2% 나왔다. 금전적인 문제보다는 서로 떨어져 사는 부부들이 겪는 정신적 · 신체적 스트레스가 클 것이라고 생각하는 직장인들이 그만큼 많다는 얘기다.
반대로 '기러기 부부의 장점은 무엇이라고 보는가'라는 질문에는 전체 응답자의 40.4%가 '보다 자유로운 생활'이라고 대답했다. 하지만 '아무런 장점도 없다'고 답변한 응답자도 31.6%에 달했다. 배우자와 헤어져 살아야 하는 현실 부담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업무에 더 집중할 수 있다'는 응답도 24.0%를 차지했다.
'주변에서 기러기 부부 사례를 직접 보거나 들어 본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전체의 91.6%가 '그렇다'고 답해 우리 주변에 직장과 자녀 교육 때문에 서로 떨어져 생활하는 부부들이 생각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설문에 참여한 693명 중 실제 기러기 부부 생활을 하는 직장인들은 134명으로 19.3%에 달했다. 이로 미뤄 직장인 10명 중 2명은 기러기 생활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기러기 아빠를 보는 것이 이제는 아주 일반화된 셈이다. 이들이 기러기 부부가 된 이유는 배우자의 지방 및 해외지사 근무 등 '직장 문제'가 81.3%로 가장 많았다. 이어 조기 유학 등 '자녀 교육 문제'(14.9%) '배우자 학업 문제'(2.2%) 등의 순이었다.
이정호 기자 dolph@hankyung.com
시장 조사 전문업체인 트렌드모니터가 직장인 69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기러기 부부의 단점을 무엇이라고 보는가'라는 질문에 전체의 54.4%가 '가족과 떨어져 사는 데 따른 정신적 스트레스'를 꼽았다. 이어서 '혼자 남는 배우자의 불규칙한 생활'(26.7%)과 '두 집 살림으로 인한 과다 비용 지출'(15.7%)이란 대답이 뒤를 이었다. '건강을 해친다'는 답변도 3.2% 나왔다. 금전적인 문제보다는 서로 떨어져 사는 부부들이 겪는 정신적 · 신체적 스트레스가 클 것이라고 생각하는 직장인들이 그만큼 많다는 얘기다.
반대로 '기러기 부부의 장점은 무엇이라고 보는가'라는 질문에는 전체 응답자의 40.4%가 '보다 자유로운 생활'이라고 대답했다. 하지만 '아무런 장점도 없다'고 답변한 응답자도 31.6%에 달했다. 배우자와 헤어져 살아야 하는 현실 부담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업무에 더 집중할 수 있다'는 응답도 24.0%를 차지했다.
'주변에서 기러기 부부 사례를 직접 보거나 들어 본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전체의 91.6%가 '그렇다'고 답해 우리 주변에 직장과 자녀 교육 때문에 서로 떨어져 생활하는 부부들이 생각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설문에 참여한 693명 중 실제 기러기 부부 생활을 하는 직장인들은 134명으로 19.3%에 달했다. 이로 미뤄 직장인 10명 중 2명은 기러기 생활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기러기 아빠를 보는 것이 이제는 아주 일반화된 셈이다. 이들이 기러기 부부가 된 이유는 배우자의 지방 및 해외지사 근무 등 '직장 문제'가 81.3%로 가장 많았다. 이어 조기 유학 등 '자녀 교육 문제'(14.9%) '배우자 학업 문제'(2.2%) 등의 순이었다.
이정호 기자 dolp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