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불황의 여파로 서울에서 올해 들어 매월 약 1천 가구가 사회적 보호가 필요한 빈곤층으로 전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4월 현재 파악된 기초생활보장수급자가 11만7천993가구로, 올 들어 월평균 1천 가구씩 증가하는 추세라고 20일 밝혔다.

기초생활보장수급자는 월 순소득과 재산가치를 반영한 소득 인정액이 4인 가족 기준으로 최저생계비(월 132만6천원) 이하인 가구로, 정부로부터 최저생계비와 월소득 인정액의 차액을 현금으로 지원받을 수 있다.

시는 사실상 기초생활보장수급 대상에 해당하지만, 지원받지 못하는 가구를 포함해 신 빈곤층 7만6천가구를 최근 발굴했다.

시는 이들 가구를 SOS위기가정 지원이나 저소득 틈새계층 지원 사업 대상에 포함해 돕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SOS 위기가정 지원 사업은 주 소득자의 실직이나 휴.폐업 등으로 위기에 처했지만, 현행 제도에 따른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가구에 최고 500만원의 현금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저소득 틈새계층 사업은 실질적으로 최저생계비 이하의 생활을 하고 있지만, 일부 요건이 맞지 않아 혜택을 보지 못하는 가구에 월 18만5천원(1명)~31만4천원(2명 이상)을 지원하거나 시의 공공근로 사업에 참여하는 기회를 주는 제도다.

시 관계자는 "경제사정이 나빠지면서 신 빈곤층이 늘고 있다"며 "SOS 위기가정 사업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이들이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지역의 실업자는 4월 현재 25만1천명으로, 1년 전보다 18%(3만8천명)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연합뉴스) 이유미 기자 gatsb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