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가 탄도탄 조기경보 레이더와 차세대 지대공 미사일 등을 조기에 전력화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는 북한 미사일 위협에 대처하는 대응전력을 서둘러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국방부 고위 관계자는 7일 "북의 위협에 맞설 수 있는 무기체계를 빨리 배치하는 방향으로 첨단 전력 도입 우선 순위를 재조정하고 있다"면서 "이달 말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국방개혁 기본계획' 초안을 확정키로 했다"고 말했다.

'국방개혁 기본계획'은 참여정부 당시 입안된 것으로 오는 2020년을 목표로 하는 군 현대화 프로젝트다. 핵심 내용은 65만5000명 수준인 병력을 50만명으로 줄이되 621조원을 투입,2012년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환수 후에도 첨단 군의 상태를 유지한다는 것이다.

다른 관계자는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와 경제위기 상황을 반영해 당초 50만명 정도로 계획했던 군 병력을 52만명 선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조정하고 무기 도입 일정 순연 등을 통해 국방개혁 예산을 30조원 정도 줄이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2010~2014년 국방 중기계획'에 따라 도입을 추진한 공중 급유기와 고고도(高高度) 무인정찰기(UAV) 구매는 다소 지연될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탄도탄 조기경보 레이더와 탄도탄을 요격할 수 있는 차세대 지대공 미사일은 도입에 한층 속도를 낼 전망이다.

탄도탄 조기경보 레이더는 스커드,노동,대포동 등 북한이 보유한 모든 종류의 탄도 미사일이 북한 어느 곳에서 발사되든 수직이륙 단계부터 포착할 수 있다.

김태철 기자 synerg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