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일자리 나누기 대책의 일환으로 공기업 대졸 초임을 최대 30% 삭감해 민간기업 수준으로 낮추기로 했다고 한다. 바람직한 일이다. 경총 분석에 따르면 1인당 국내총생산(GDP) 대비 대졸초임은 일본이 72%, 미국은 94% 수준인데 반해 우리는 128%에 이른다. 이래서야 국제경쟁에서 이길 수 없음은 너무도 자명하다. 특히 공기업의 솔선수범은 민간기업으로 이런 움직임이 확산(擴散)될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도 긍정적이다.

하지만 이번 대책이 일자리나누기의 성과를 거두면서 동시에 전반적 임금수준의 하향안정을 유도하기 위해선 보완해야 할 점이 한두가지가 아니다. 무엇보다 심각하게 고려해야 할 점은 기존 직원들의 경우도 고통분담에 동참해 임금수준을 낮춰야만 한다는 것이다. 정부는 "기존 직원 보수체계는 노사합의에 의해 조정해야 하기 때문에 강제할 방법이 없다"고 말하고 있지만 이는 설득력(說得力)이 없다. 잡셰어링의 기본 정신은 바로 기득권자의 양보에서 찾아야 한다. 그런데도 기존 직원들은 아무런 불이익이 없고 신입사원들에게만 희생을 강요한다면 이는 누가 보아도 이해하기 힘든 일이다.

게다가 신입사원들은 차장 부장 등 간부가 될 때까지 낮은 임금을 적용하고,기존 직원들은 종전 임금체계를 그대로 적용한다니 더욱 문제다. 같은 조직 내에서 두 가지 괴리된 임금체계가 운용되는 것과 다를 바 없다. 조직내 갈등과 대립을 부추기고 경영효율이 저하될 게 너무도 뻔하다. 거듭 강조하지만 임금삭감은 결코 신입사원에 국한할 일이 아니다. 기존직원들도 반드시 동참해야 한다. 정부는 노조 설득에 적극 나서야 하고 노조 또한 대승적 견지에서 이를 수용해야 마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