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초절전 '차세대 4기가 D램' 개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5개월만에 용량 2배 늘려…2기가 대비 40% 전력절감
삼성전자가 전력 소비를 대폭 줄일 수 있는 4기가비트(Gb) D램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이에 따라 '전기 먹는 하마'로 불리던 서버의 유지 비용이 크게 줄어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현재까지 나온 D램 단품 가운데 용량이 가장 큰 4기가비트 DDR3 D램을 50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급 공정으로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29일 발표했다. 이 회사가 지난해 9월 50나노급 공정으로 만든 2기가비트 DDR3 D램을 내놓은 지 5개월 만이다.
이번에 개발한 4기가비트 D램을 사용하면 2기가비트 제품에 비해 전력 효율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6기가바이트(GB,1GB는 8기가비트)짜리 D램 모듈을 만들 때 기존 2기가비트 D램은 총 72개를 모아 구성해야 했지만,4기가비트 D램은 이를 절반(36개)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을 40% 이상 절감할 수 있고,시스템 작동시 발열량도 크게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다.
이 제품은 또 1.35볼트(V)로 작동해 기존 1.5V로 작동하는 D램 제품에 비해 추가로 전력 소비를 20% 이상 줄일 수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4기가비트 DDR3 D램을 사용하면 수많은 서버를 설치,운영해야 하는 정보기술(IT) 회사들의 유지 비용이 크게 절감될 것"이라며 "최근 IT 업계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친환경에도 부합하는 제품"이라고 말했다.
이 제품은 데이터 처리 속도도 빨라졌다. 1.35V 환경에서 최대 초당 1.6기가비트(Gbps)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기존 1.5V에서 동작하는 DDR3 D램보다 성능이 약 20% 향상된 셈이다. 삼성전자 측은 패키지 적층 기술(DDP)을 통해 이 제품으로 32기가바이트짜리 D램 모듈 개발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이번에 4기가비트 D램 개발에 성공하면서 업계에서 가장 많은 50나노급 DDR3 D램 제품군을 확보,경쟁 업체에 비해 우위를 유지할 수 있게 됐다. 시장조사기관 IDC에 따르면 DDR3 D램은 전체 D램 시장(비트 기준)에서 올해 29%,2011년께면 75%를 차지하는 등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안정락 기자 jran@hankyung.com
[용어설명]
◆DDR3 D램=PC 등의 메모리 장치로 쓰이는 D램의 처리 속도를 2배로 개선시킨 것이 DDR(Double Data Rate) D램이다. D램이 1클럭당 1개의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비해 DDR D램은 1클럭당 2개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DDR D램도 성능에 따라 DDR,DDR2,DDR3 등으로 나뉘는데 단계가 높아질 때마다 데이터 처리 속도가 2배가량 높아진다.
이번에 개발한 4기가비트 D램을 사용하면 2기가비트 제품에 비해 전력 효율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ADVERTISEMENT
이 제품은 또 1.35볼트(V)로 작동해 기존 1.5V로 작동하는 D램 제품에 비해 추가로 전력 소비를 20% 이상 줄일 수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4기가비트 DDR3 D램을 사용하면 수많은 서버를 설치,운영해야 하는 정보기술(IT) 회사들의 유지 비용이 크게 절감될 것"이라며 "최근 IT 업계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친환경에도 부합하는 제품"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삼성전자는 이번에 4기가비트 D램 개발에 성공하면서 업계에서 가장 많은 50나노급 DDR3 D램 제품군을 확보,경쟁 업체에 비해 우위를 유지할 수 있게 됐다. 시장조사기관 IDC에 따르면 DDR3 D램은 전체 D램 시장(비트 기준)에서 올해 29%,2011년께면 75%를 차지하는 등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안정락 기자 jran@hankyung.com
ADVERTISEMENT
◆DDR3 D램=PC 등의 메모리 장치로 쓰이는 D램의 처리 속도를 2배로 개선시킨 것이 DDR(Double Data Rate) D램이다. D램이 1클럭당 1개의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비해 DDR D램은 1클럭당 2개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DDR D램도 성능에 따라 DDR,DDR2,DDR3 등으로 나뉘는데 단계가 높아질 때마다 데이터 처리 속도가 2배가량 높아진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