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기대수명이 80세를 돌파하면서 가계소비 절벽도 한층 깊어졌다. 길어진 노후에 대비하기 위해 저축은 늘리고 씀씀이를 줄인 결과다.한국개발연구원(KDI)은 23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인구요인이 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을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평균소비성향(명목 국내총생산에서 명목 민간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2004년 52.1%에서 2024년 48.5%로 3.6%포인트 하락했다.KDI는 소비성향 하락분(3.6%포인트) 가운데 3.1%포인트는 기대수명 증가의 결과라고 평가했다. 기대수명이 늘면 그만큼 노후를 위해 저축을 늘리는 대신 소비를 줄인다. 인생에서 가장 긴 기간 근무한 ‘생애 주직장’ 퇴직 연령에 변화가 없는 가운데 기대수명이 늘면서 퇴직 후 소득이 쪼그라들 수 있다. 그만큼 저축성향이 높아진다는 설명이다.한국인의 기대수명은 2004년 77.8세에서 2024년 84.3세로 6.5세 늘었다. KDI는 기대수명이 1년 증가할 때마다 소비성향이 평균 0.48%포인트씩 떨어진다고 추산했다.기대수명이 갈수록 길어지는 만큼 소비성향 하락도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KDI는 지난해 48.5%이던 소비성향이 2034년에는 46.3%까지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소비성향이 하락하는 만큼 민간소비 증가율도 낮아질 것으로 봤다. KDI는 올해부터 2040년까지 실질 민간소비 증가율이 연평균 0.06%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소비 증가율이 내려가는 만큼 같은 기간 잠재성장률도 떨어질 것으로 봤다.KDI는 소비를 북돋우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고령층의 일자리를 늘려 씀씀이를 되살릴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는 제언이다. 김미루 KDI 연구위원은 “연공서열형의 임금 구조를 개선하
23일 미래에셋증권에 따르면 이 증권사를 이용하는 ‘수익률 상위 1%’ 서학개미가 최근 한 주(4월 16~22일)간 가장 많이 사들인 미국 주식은 테슬라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한 달간 테슬라 주가가 15% 가까이 빠지자 저가 매수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석유업체 옥시덴털페트롤리엄,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를 3배로 추종하는 ‘디렉시온 반도체 데일리 3X’(SOXL) 상장지수펀드(ETF) 등도 순매수 상위권에 올랐다.반면 가장 많이 매도한 종목은 필립모리스인터내셔널로 나타났다. 필립모리스인터내셔널은 세계 1위 담배 기업으로 대표적인 경기 방어주로 꼽힌다. 최근 한 달간 주가가 8% 넘게 상승하자 차익실현에 나섰다는 분석이다.양지윤 기자
중국 기술주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가 국내 증시에 잇따라 상장될 예정이다. 지난 1월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가 고성능·저비용 AI 모델을 선보인 뒤 ‘테리픽(Terrific) 10’이라고 불리는 중국 빅테크 투자 수요가 급증하면서다.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4개 중국 테크기업 관련 ETF가 이르면 다음달부터 줄줄이 출시된다. 삼성자산운용의 ‘KODEX 차이나휴머노이드로봇’, 미래에셋자산운용 ‘TIGER 차이나테크TOP10’, 한화자산운용 ‘PLUS 차이나AI테크TOP10’, 타임폴리오 ‘TIMEFOLIO 차이나AI테크액티브 등이 ETF 표준 코드 발급 절차를 마쳤다.그동안 국내 상장된 ETF는 항셍지수, CSI300지수 등 홍콩 및 중국의 시장 대표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이 대부분이었다. 이번에 출시되는 ETF는 샤오미, BYD, 알리바바 같은 중국의 빅테크 기업을 추려 집중 투자하는 구조다. 투자 산업군도 AI, 휴머노이드 등으로 세분화됐다.미·중 관세 전쟁의 여파로 중국 ETF의 최근 1개월 수익률이 마이너스를 기록 중이지만 재상승 여력은 충분하다는 게 증권업계의 시각이다. 특히 기술주의 기대가 높은 편이다. 전기차·휴머노이드 등 분야에서 중국 기업의 기술 경쟁력이 상당할 뿐 아니라 중국 정부 차원의 경기 부양책도 이어질 것이란 판단에서다. 삼성증권은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서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중국 빅테크가 기업이익과 시가총액 증가세를 주도할 것”이라며 “중국 정부가 적극적인 산업 고도화 지원을 약속했고, 올해 기업 전망치 역시 정보기술(IT) 부문에서 전년 대비 53% 높게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양지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