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기획·전략>인사·채용·인재개발>마케팅 순
3~5년차 경력 수요 가장 많아


올해 헤드헌팅을 통해 기업들의 채용이 가장 활발했던 직종은 '경영·기획·전략'이고, 경력은 '3~5년차'인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취업·인사포털 인크루트애 따르면 이 회사가 올해 기업들의 경력직 채용 흐름을 알아보기 위해 자사 헤드헌팅몰(chief.incruit.com)에 등록된 채용공고를 분석해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먼저 올해 게재된 채용공고의 직종별 비율을 살펴보면 ▲경영·기획·전략 직종이 7.5%로 가장 많았다. 뒤를 이어 ▲인사·채용·인재개발(6.2%) ▲마케팅(5.2%)이 각각 2, 3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세무·회계(4.7%) ▲기술영업(4.3%) ▲응용 프로그래밍(3.4%) ▲영업관리· 영업지원(3.2%) ▲시스템분석· 컨설팅(3.2%) ▲기계·금속(3.2%) ▲전자·반도체(3.0%) 등의 순이다.

기업은 불황일수록 신입보다는 실무에서 바로 실적을 낼 수 있는 경력직 채용에 무게를 두기 마련이다. 특히 올 한 해 기업들이 가장 많이 찾은 경력 연수는 3~5년차로 절반에 가까운 48.7%를 차지했다. 직급으로는 대리급 정도에 해당하는 3~5년차는 어느 정도 직무 전문성도 갖춰져 있고, 실무에 투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어 ▲2년차 이하(32.5%)의 비중도 적지 않았고 ▲6~10년차(16.4%) ▲11년차 이상(2.4%) 순으로 각각 집계됐다.

글로벌 시장확대와 해외 사업 등을 위해 외국어 능력을 요구하는 기업도 많았다. 요구하는 외국어로는 영어가 83.5%로 월등히 높았으며 ▲프랑스어(5.8%) ▲일본어(5.3%) ▲중국어(3.4%) 등이 뒤를 이었다.

학력별로는 대졸 이상(82.0%)이 가장 많았고 ▲전문대졸 이상(9.6%) ▲고졸 이상(5.2%) ▲석사 이상(2.9%) ▲박사 이상(0.4%) 순이었다.

인크루트 이광석 대표는 "올 한 해 채용시장이 다소 위축된 모습을 보였지만 기업의 핵심인재라고 할 수 있는 '경영·기획·전략' 직종과, 실무에서 바로 실적을 낼 수 있는 3~5년차의 채용 수요가 많았다"며 "채용시장이 어렵다고는 하지만 바로 성과를 낼 수 있는 경력직의 수요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박세환 기자 gre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