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투자증권은 24일 국민소득 증가 속도를 감안한 적정 코스피는 1320P 수준이라고 제시했다.

이 증권사 김학균 연구원은 "주식의 중장기 균형 가격은 여러가지 가정에 따라 도출될 수 있겠지만 주가의 적정 레벨을 가늠하는 데 도움이 될만한 직관적 변수 중 하나는 국민소득"이라며 "장기적으로 주가는 1인당 국민소득의 성장과 비슷한 궤적을 그려왔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1980년대 이후 한국의 1인당 GNI는 11배 커졌고, 코스피의 평균 레벨은 13배 높아졌다. 대체로 강세장에서는 코스피의 상승 속도가 국민소득 증가 속도보다 빨랐는데, 1980년 이후 1인당 GNI와 코스피의 상관계수는 0.90에 달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김 연구원은 "1인당 GNI 증가 속도보다 주가가 더 빠르게 올라간 부분을 주식시장의 버블이라고 가정하고 이를 감안해 코스피의 레벨을 조정해보면 1320P가 도출된다"고 제시했다.

1인당 GNI증가 속도를 감안한 적정 코스피 레벨은 1320P정도로 현재 주가는 이런 균형 가격보다 20% 이상 낮게 형성돼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는 분석이다.

김 연구원은 "1000P 내외의 코스피는 국민소득의 증가를 반영한 적정주가 레벨을 하회하는 수준"이라며 "그러나 코스피가 적정주가로 회귀하기 위한 전제 조건은 신용 위험의 완화"라고 지적했다.

그는 "가장 큰 대마인 씨티그룹의 처리를 매개로 미국 금융 구조조정은 정점으로 치닫고 있다"며 "매각이든 신규 자금 조달을 통한 회생 모색이든 씨티 그룹의 처리 방향이 결정돼야 신용위험이 완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가는 균형점 대비 낮게 형성돼 있지만 아직까지 균형점으로 복귀할 수 있는 여건은 형성되지 않고 있어 이번주에도 변동성 높은 장세의 전개가 불가피하다고 김 연구원은 전망했다.

한경닷컴 배샛별 기자 sta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