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주단협약 가입여부 결정 임박

부실 건설업체들의 퇴출여부가 오는 18일께 판가름날 것으로 보인다.

13일 은행연합회와 금융당국에 따르면 연합회는 일시적 자금난을 겪고 있는 업체들을 살리기 위한 대주단(채권단) 자율협약 가입신청을 오는 18일까지 1차로 접수한다.

이번 1차 접수는 100대 건설사들을 대상으로 하며 2차에는 규모가 더 작은 건설사들로 대상을 확대한다.

각 주채권은행은 사정이 어렵지만 금융권 지원을 받으면 살아날만한 기업을 선별해 대주단 가입을 권유하게 된다.

따라서 대주단에 들어오지 못하는 건설사들은 시장에서 퇴출될 가능성이 높다.

은행연합회 관계자는 "부실한 건설사들은 대주단에 들어오고 싶어도 주채권 은행에 의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이라면서 "물론 우량한 건설사들은 대주단에 들어올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따라서 재무구조 등에서 문제가 있는 건설사들의 경우, 대주단협약에 가입되는지 여부에 따라 퇴출 여부가 결정되는 셈"이라면서 "그러나 대주단에 들어오지 못한 건설사들도 자구노력에 따라서는 은행의 지원없이 살아날 가능성도 있는 만큼 모두 퇴출된다고 단정할 수 없다"고 말했다.

.
금융당국 관계자는 "현재의 영업이익 상태와 앞으로의 이익 전망, 어음이나 채권만기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해 회생 가능성이 있는 건설사들을 분류하는 작업이 은행에 의해 진행되고 있다"고 전하고 "작업의 완료는 다음주 월요일에는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퇴출 대상 건설사들이 많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면서 "앞으로 실제 퇴출여부 등에 대해서는 좀더 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정상화되기 쉽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널리 알려진 몇 개 기업을 제외하고는 어지간하면 신청을 받아줄 것"이라고 말했다.

은행연합회는 어떤 건설사가 대주단 협약에 가입했는지는 공개하지 않을 계획이다.

가입한 업체 뿐 아니라 가입하지 않은 건설사들에게도 불필요한 부담을 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연합회는 설명했다.

건설사들이 대주단에 가입하면 유동화채권과 대출의 만기가 1년 연장되기 때문에 일단은 숨통이 트이고 주채권은행과 협의에 따라 신규 자금을 받을 수도 있다.

은행연합회 관계자는 "신성건설이 지난 4월에 대주단에 들어왔다면 법정관리를 신청하는 상황에 이르지 않을 수도 있었다"면서 "대주단 협약은 건설사들을 살리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