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에 적극 대비하기 위한 '기후변화대응 주요과제별 정책 심포지엄'이 23일 한국경제신문과 국회의원 연구모임인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환경정책연구회(회장 이경재 한나라당 의원) 주최로 국회 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렸다. 국무총리실 산하 기후변화대책기획단의 '기후변화대책 정책방향 설명' 등 5개의 주제발표와 토론순으로 진행된 이날 심포지엄에는 김형오 국회의장과 이인기 한나라당 의원,김춘진 민주당 의원,이용경 창조한국당 의원 등 20여명의 의원이 참석했다.

김 의장은 축사에서 "기후 변화에 대한 대응은 책상 위에서 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적인 문제로 다가왔다"면서 "심포지엄이 끝나고 26일부터는 한국경제신문,서울시,환경정책연구회가 공동 주관해 우리나라 최초로 기후 박람회를 연다는 데 대단히 뜻 깊다"고 말했다. 이경재 회장은 "기후변화는 인류에게 재앙인 동시에 산업발전의 핵이기도 하다"면서 "이번 행사를 계기로 국민들에게 기후 변화에 대한 인식을 확대시키고 저탄소 운동을 활발히 전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계민 한국경제신문 주필도 "국회와 학계,산업계가 심포지엄에서 논의한 내용이 입법조치로 이어져 국가 경쟁력 강화의 밑거름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병욱 전경련 상무는 주제발표를 통해 "총리실에서 입법예고한 기업별 배출총량 규제는 신중할 필요가 있다. 기업의 신규투자 저해 및 제품 원가상승이 우려되고 제조업의 해외 이전까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이 상무는 "기업의 온실가스 조기 감축노력에 인센티브를 주고 환경기술 개발 및 기금조성에 대한 기업의 매칭펀드 참여폭을 확대하는 등 산업계가 자율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내놔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은철 서울대학교 교수는 "탄소 배출 억제를 위해 석유 등 화석에너지의 소비를 줄여야 하고 대체에너지는 아직 경제성이 없는 상황에서 유일안 대안이 원자력"이라며 "정부는 원자력 발전소를 10개 더 짓는다는데 150조원에 이르는 재원을 조달할 길이 없다. 진입장벽을 낮추고 전기세를 올려 민간자본을 유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심포지엄은 24일에도 '한국 전기자동차산업의 현재와 미래' 등 4개 주제를 중심으로 계속된다.

노경목 기자 autonom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