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의 진단과 수술, 항암치료, 방사선치료 등을 담당하는 각각의 암 전문의가 한자리에 모여 종합적인 치료계획을 세우고 맞춤진료를 하는 `암 통합진료시스템'이 환자들로부터 인기를 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처음으로 암 환자 통합진료시스템을 도입한 서울아산병원은 3~6월 암 통합진료를 받은 환자(보호자) 86명과 일반 외래진료를 받은 환자(보호자) 786명을 대상으로 진료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진료에 매우 만족한다'는 응답자 비율이 통합진료 환자군(61.6%)에서 외래환자 진료군(25.4%) 보다 높았다고 16일 밝혔다.

전체적으로 `진료에 만족한다'는 응답은 통합진료 환자군의 97.6%, 외래진료 환자군의 91.8%에 달했다.

통합진료의 가장 큰 장점인 `의료진간 협동성'과 `서비스의 신속성'에 대해서는 각 응답자의 98.8%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또한 진단 및 치료 방향에 대한 신뢰도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97.7%가 신뢰한다고 응답했으며 통합진료 전후의 심리적인 변화를 묻는 항목에서도 진료 후 85.3%가 편안해졌다고 답했다.

병원측은 암의 진단부터 수술, 항암치료, 방사선치료 등의 치료계획을 동시에 세워 치료기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통합진료의 장점 때문에 기존 외래진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분석했다.

예를 들어 수술 전 종양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 치료를 받게 되는 대장암 환자의 경우 기존 외래진료시스템에서는 먼저 소화기내과를 거쳐 외과와 종양내과, 선종양학과 등 관련 진료과를 순서에 따라 거치면서 해당 검사를 일일이 처방받아 치료의 방향을 결정해야 했다.

하지만 통합진료시스템을 이용하면 환자와 여러 진료과 전문의가 동시에 한 자리에 모여 최적의 치료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암 치료에 대한 신뢰는 물론 의사결정의 부담이 줄어들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규형 암센터 소장은 "기존 시스템이 암 치료를 받는데 수개월 동안 진료와 검사만으로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지만 통합진료시스템은 첫 외래진료를 받은 뒤 정밀검사를 거쳐 수술 또는 항암치료를 받기까지 2~3주면 된다"면서 "앞으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암치료 시스템으로 자리 잡을 전망"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bi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