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 거래가 전면 재개된 지 한 달 남짓이 지났다. 코스피지수가 공매도 재개 이후에도 회복세를 나타내면서 일부 종목의 경우 ‘쇼트커버링’으로 주가가 크게 튀어오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쇼트커버링이란 공매도 거래를 한 투자자가 해당 종목의 주가 상승으로 인한 평가 손실을 견디지 못해 빌린 주식을 갚으려 손실을 감수하고 주식을 매수하는 걸 말한다. 새로운 매수세가 유입된다는 측면에서 주가 상승세가 가팔라질 수 있다는 진단이다.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연휴 직전인 지난 2일 코스피는 2559.79로 거래를 마쳤다. 공매도 거래가 재개되기 직전인 3월30일(2557.98)와 비슷한 수준이다.코스피는 앞서 코로나19 팬데믹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정지됐던 공매도 거래가 재개된 이후보다 공매도 거래가 활발한 상황에서도 제자리걸음을 하며 버텨냈다. 코스피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전쟁을 일으킨 충격을 받고 한때 2300선이 무너지기도 했지만 빠르게 회복했다. 4월 한 달간 코스피는 3.04% 상승했다. 같은 기간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0.76%)와 나스닥지수(0.85%), 일본 닛케이225지수(1.2%), 유럽 유로스톡스50지수(-1.68%) 등 주요국들의 대표 주가지수들 대비 선방했다.특히 우리 증시에선 3월31일부터 재개된 공매도 거래가 활발했는데도 주가가 버틴 점을 눈여겨볼 만하다. 앞서 중지된 공매도 거래가 재개된 2021년 5월과 비교해도 거래 규모가 컸다.전균 삼성증권 연구원은 “코스피200지수 편입 종목들을 기준으로 거래 재개 이후 공매도 거래 비율은 2021년은 4.9%였지만, 2025년은 10.2%에 달했다”며 “코스닥150지수 편입 종목 역
"미국 주식시장에서의 투자 성과는 인공지능(AI) 전망에 큰 영향을 받을 것입니다. 앞으로도 시장을 주도할 빅테크(거대 기술기업)를 계속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최민규 한국투자신탁운용 글로벌주식운용담당(사진)은 5일 한경닷컴과의 인터뷰에서 "'매그니피센트7'(M7)은 AI 대전환 시대에 없어선 안 될 기업"이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최 담당은 2008년 한국투자신탁운용에 입사한 후 퀀트운용팀과 글로벌퀀트운용부의 부서장을 거쳐 올해 초부터 글로벌주식운용담당을 맡고 있다. "빅테크, AI 수익으로 관세 영향 충분히 상쇄"M7(애플·아마존·알파벳·메타·마이크로소프트·엔비디아·테슬라) 주가는 올 들어 큰 폭으로 조정받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이익 성장에 악영향을 줄 것이란 우려가 반영되면서다.하지만 최근 빅테크 주가 조정은 수급 문제에 불과할 뿐 관세 영향은 크지 않다고 최 담당은 선을 그었다. 그는 "지난해까지 투자자들의 M7 편중이 심했다"며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시장 변동성이 커지자 이를 감내하기 싫은 투자자들이 기존에 보유한 M7을 팔면서 주가가 하락한 것"이라고 분석했다.이어 "관세 여파로 인해 주사업 부문의 수익성이 일부 악화할 수 있다"면서도 "지금까지 빅테크의 실적 발표와 경영진들의 발언을 보면 AI를 통한 실적 성장분으로 이를 충분히 만회할 수 있다"고 짚었다.그러면서 "AI 분야에 대한 빅테크의 대규모 투자는 이미 성과를 내고 있다"며 "당분간 관성적으로 실적 성장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실제 마이
관세를 둘러싼 미·중 갈등이 완화될 것이란 기대가 나오면서 투자자들의 시선이 상장사 실적으로 향하고 있다. 특히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가 뛰고 있는 기업을 주목하라는 조언이 나온다. 이마트와 한화솔루션, 유니드, 에이피알 등이 대표적이다. ◇실적 전망치 부쩍 높아진 이마트5일 미래에셋증권은 실적 전망치 증가 속도가 빠르고 애널리스트들이 제시하는 컨센서스 중 최대치가 지속적으로 높아지면서 분기별 어닝서프라이즈(깜짝 실적) 횟수가 3회 이하인 기업에 주목하라고 강조했다. 어닝서프라이즈가 4회를 넘어가면 실적 피크아웃(정점 후 감소) 우려로 주가 상승률이 둔화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이런 조건에 가장 부합하는 대기업은 이마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마트의 올해 영업이익 전망치는 4606억원으로, 1개월 전 대비 16.5%, 3개월 전보다 54.0% 급증했다. 2개월 연속 컨센서스가 상향되면서 증가 속도도 가팔랐다.영업이익 컨센서스 상단은 올해 1월 4372억원, 2월 5728억원, 4월 5921억원 등으로 높아졌다. 대선 후 본격 추진될 재정 확대 정책으로 국내 소비 여력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이 반영됐다. 경쟁사인 홈플러스가 체질 개선을 위해 영업점 통폐합에 들어가면 반사이익을 얻을 것이란 관측도 있다. 새벽배송 권역 및 퀵커머스(1시간 내 즉시 배송) 확대 계획도 긍정적인 부분이다.한화솔루션의 올해 영업이익 컨센서스(7050억원) 역시 1개월 전 대비 16.4% 늘었다. 올해 컨센서스 상단은 지난 2월 8602억원에서 4월 1조80억원으로 올라갔다. 미국은 동남아시아를 통해 미국에 우회 수출하는 중국 기업에 고율 관세를 부과할 예정인데, 한화솔루션은 미국 조지아주에 태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