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전 대통령 측의 청와대 국가기록물 유출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첨단범죄수사부(구본진 부장검사)는 5일 이모 씨 등 전 청와대 행정관 3명을 소환해 조사했다.

검찰 관계자는 "국가기록원에서 고발된 전 청와대 행정관 3명과 실무자 등을 불러 피의자 조사를 진행했다"며 "이들을 먼저 부른 것은 기록물 반출의 실무를 맡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검찰은 이들을 상대로 청와대에 보관돼 있던 국가기록물을 반출한 경위와 이 과정에서 위법 또는 불법행위가 있었는지 등을 집중 조사했다.

또 기록물 반출 과정에 노 전 대통령의 명시적인 지시가 있었는지 등 당시 지휘 체계도 파악했다.

그동안 여권 일각에서는 노 전 대통령 측이 국가기록물을 무단 반출하기 위해 페이퍼컴퍼니(유령회사)인 디네드를 동원했고 이 과정에 노 전 대통령 측근이 개입했다는 의혹이 제기돼 왔다.

검찰은 이와 함께 최근 온세텔레콤에 대한 압수수색을 통해 봉하마을에서 사용된 `e지원 시스템'(옛 청와대 온라인 업무관리 시스템) 서버 2대를 압수했으며 노 전 대통령의 홈페이지인 '사람사는 세상'의 운용에 사용되고 있는 서버에서도 자료를 복사해 와 분석 중이다.

검찰은 노 전 대통령 측의 e지원 서버가 경기 분당과 용인 수지에 있는 온세텔레콤으로 이전된다는 첩보를 미리 입수해 서버가 옮겨지자마자 곧바로 압수할 수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압수물 분석과 전 청와대 행정관들의 소환조사를 통해 아직 국가기록원에 반납되지 않은 대통령 기록물이 있는지, 복제 서버 등을 통한 제2, 제3의 유출이 있는지 등을 확인할 방침이다.

지난달 말 국가기록원은 노 전 대통령 측 비서관과 행정관 등 10명을 대통령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 등으로 서울중앙지검에 고발한 바 있다.

한편 노 전 대통령 측 김경수 비서관은 "국가기록원이 7월 중순 반환 협상을 하러 왔을 때 서버는 봉하마을에 두기로 했는데 갑자기 압수해 가는 등 정부의 대응과 검찰 수사가 이해하기 어려운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윤종석 김태종 기자 banana@yna.co.krtaejong75@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