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전 대통령측은 21일 국가기록원이 `e지원'(옛 청와대 온라인업무관리시스템) 서버 전체의 반환을 촉구한 대해 대해 "터무니없는 주장"이라며 반박 자료를 제시했다.

노 전 대통령측 김경수 비서관은 이날 노 전 대통령 공식홈페이지에 올린 보도자료를 통해 "국가기록원은 7대의 서버 모두를 반환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대통령기록물 열람을 위해 사용된 서버는 2대 뿐으로 국가기록원측도 직접 확인한 사실"이라고 밝혔다.

김 비서관은 또 "5대의 서버는 노무현 대통령 홈페이지 운용에 사용되고 있으며 모두 분당에 있는 서버관리업체에 설치되어 있다"면서 "e지원과는 전혀 무관한 서버"라고 말했다.

노 전 대통령측은 지난 19일 봉하마을에 있던 서버 2대에 있던 대통령기록물이 저장된 하드디스크와 백업파일을 국가기록원에 반납했다.

김 비서관은 "국가기록원은 무슨 근거로 전직 대통령의 명예를 심각하게 훼손하는 이런 허위 주장을 내놓았는가"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조선왕조실록이라는 찬란한 기록문화의 보고가 남겨질 수 있었던 것은 권력의 부당한 간섭에 목숨을 걸고 기록을 지켜내려고 노력한 사관들이 있었기 때문"이라며 "기록문화의 복원을 위해 누구보다 앞장서야 할 국가기록원이 권력의 손발이 되려 해서야 되겠는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또한 "국가기록원을 권력의 하수인으로 만드려는 시도는 역사에 대한 심각한 범죄행위"라고 청와대를 겨냥하면서 "이제는 청와대와 국가기록원이 전직 대통령을 공격할 것이 아니라 전직 대통령의 예우에 맞는 열람권을 어떻게 보장할 것인지 답을 내놓아야 할 차례"라고 말했다.

그는 연합뉴스와의 별도 통화에서 "국가기록원이 서버 반환의 명분으로 내거는 '로그온' 기록 열람과 사본 존재 여부 파악 등은 기술적인 문제로 추후 협의하기로 했었는데 갑자기 국가기록원의 입장이 바뀌었다"고 주장했다.

(서울연합뉴스) 이광빈 기자 lkbi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