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사업 현대 독점체제는 안돼"

한나라당 박희태 대표는 21일 이명박 대통령이 광복절(8.15) 겸 건국 60주년 기념일을 맞아 특별사면을 검토중인 것과 관련, "이 대통령 취임 후 첫 사면이니까 되도록이면 범위가 좀 넓었으면 좋겠다"고 대대적 사면을 기대했다.

박 대표는 KBS `라디오정보센터 이규원입니다'에 출연, "이제 (취임후) 한 6개월도 지났고 어느 정도 사정도 파악하고 국민의 생각도 들어봤으니까, 지금쯤은 모두를 끌어안고 화해하고 새 정권이 출발하는 뜻으로 정치인 또는 경제인 등의 사면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역대 대통령이 사면할 때마다 남용이라는 말이 따라다녔다"면서 "그래서 이 대통령도 취임 초기에 보통 하던 그런 관례를 벗어나서 전혀 사면을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서민 경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전기, 수도 같은 것은 일단 하반기에는 요금을 올리지 않겠다는 방침이 정해졌다"면서 "가스값이 문제인데 정부에서는 상당히 큰 폭으로 올리겠다고 하는데 우리 당은 서민의 가장 부담이 적은 정도로 조정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독도 대책과 관련, "필요하다면 국립공원으로 정하는 일 등은 당연히 검토돼야 한다"면서 "이제 뭐 독도가 분쟁 지역이다, 일본을 의식한다는 이런 걸 다 떠났다"며 강경 대응책을 펼칠 것임을 밝혔다.

또 금강산 사건과 관련, "대북 핫라인을 설치했다고 국민에게 발표한 정권이 몇 번이냐"면서 "그런데 정말 핫 라인이라면 주석(궁) 안에 깊숙이 국방위원장과 직접 통화할 수 있는 그런 라인을 만들어놓고 자랑을 해야지, 참 역대 정권들이 한 짓을 보면 정말 핫라인인가 하는 정도로 생각이 든다"고 비판했다.

그는 "대북 정보수집은 우리의 국방안보를 위해서도 반드시 꼭 필요하다"면서 "금강산 관광 관계는 현대가 독점해 왔는데, 대북사업 특히 북한 내부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해서는 그랬다"면서 "정부는 이제는 독점체제가 안 되겠다는 판단에서 적절한 조치가 취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표는 또 노무현 전 대통령측의 국가기록물 무단반출 논란과 관련, "대통령을 지낸 분으로서 대인답게 그냥 반환하려면 깨끗이 반환했으면 좋겠다"면서 "기록원에서 요구하는 것은 몽땅 좀 돌려주시기 바란다.

그 길이 해결의 첫 장이 된다"고 강조했다.

(서울연합뉴스) 황재훈 기자 j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