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의 e지원 서버 반환 요구에 대한 입장, 임시 보관증 논란 관련 언급 추가>>
"e지원 서버는 반환대상 아냐"

노무현 전 대통령측은 19일 국가기록물 반출 논란과 관련, "우리는 약속대로 기록물 반환을 이행했다"며 "앞으로 열람권 보장을 어떻게 이행할지 지켜보겠다"고 밝혔다.

노 전 대통령측 김경수 비서관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국가기록원이 문제 제기한 것은 대통령기록관에 있어야 할 기록물이 바깥(봉하마을 사저)에 있다는 것과 18일까지 기록물을 반환해달라는 것이었다"며 "그런 상황은 해소됐고, 우리로선 필요한 조치를 다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청와대가 'e지원'(청와대 온라인 업무관리시스템) 서버 반환도 요구한 데 대해 "서버는 반환 대상이 아니다"면서 "서버는 노 전 대통령이 직접 사비를 들여 구입한 개인 소유물로서 기록물과는 무관한 부분"이라고 밝혔다.

김 비서관은 "청와대의 주장은 서버 자체가 대통령 기록물이라는 전제 하에서 나온 것이지만, 서버는 기록물이 아니다"며 "그 논리대로라면 현재 청와대에 있는 참여정부 당시 e지원 서버도 대통령기록관으로 옮겨야 한다는 의미"라고 지적했다.

그는 "18일 국가기록원측과 반환 협상을 했을 때 서버는 봉하마을에 두기로 협의됐는데, 청와대가 뒤늦게 문제를 삼은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봉하마을에 남아있는 e지원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이미 기록물을 반환했기 때문에 프로그램 안에 아무런 알맹이가 없어 빈 껍데기에 불과하다"며 "더 이상 갖고 있을 이유가 없다"고 조만간 삭제할 뜻임을 밝혔다.

이에 앞서 노 전 대통령측은 전날 국가기록원과 기록물 반환을 위한 협상을 벌였으나 하드디스크 카피본을 만드는 문제로 결렬되자 직접 기록물 사본이 담긴 하드디스크를 성남 대통령기록관에 들고가 기록물을 입고시킨 뒤 수령증을 받고 반환했다.

김 비서관은 기록원이 임시 보관증을 발급한 것 아니냐는 시각에 대해 "기록물을 넘기면서 임시냐, 수령이냐는 논란이 있었지만 결국 수령증 2매를 만들어 한 매씩 나눠 가졌다"며 "기록원이 임시 보관증이 아닌 수령증을 발부했다"고 밝혔다.

또 청와대와 기록원측이 검찰 고발 가능성을 완전히 접지 않고 있는 것과 관련, "우리가 얘기할 문제가 아니다"면서도 "지금 또다시 검찰 고발 운운한다면 이 문제를 다시 정략적인 문제로 몰고가는 것 아니냐고 본다"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류지복 기자 jbryo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