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도 이어져, 노동계 임단협 맞물려 장기화 우려도

6월항쟁 21주년인 10일 `쇠고기 정국' 사상 최대 규모 인파가 참가한 촛불집회가 열린데 이어 오는 13, 14일에도 대규모 촛불행사가 계획돼 있어 경찰이 긴장의 끈을 늦추지 못하고 있다.

전국에서 `100만 촛불 대행진'을 주도했던 광우병 국민대책회의는 미군 장갑차에 깔려 숨진 여중생 고(故) 효순ㆍ미선 양의 6주기인 13일 추모 행사와 함께 촛불 문화제를 개최할 계획이라고 11일 밝혔다.

토요일인 14일에는 `정권 타도'를 외치며 분신했다가 숨진 고 이병렬(43) 씨의 영결식을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 `민주시민장'으로 진행한 뒤 저녁에는 이씨를 추모하는 전국 동시다발 촛불집회를 연다.

일요일인 15일에는 `6.15 남북 공동선언' 8주년을 맞아 통일단체와 재야단체 등이 주최하는 각종 기념 행사가 개최된다.

6.10 100만 촛불대행진 다음날인 11일과 12일에도 광우병 국민대책회의는 서울광장을 중심으로 촛불집회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다행히 10일 대규모 촛불시위에서 `과격시위'나 `폭력진압' 등의 불상사 없이 질서 정연한 평화시위의 기조가 지켜졌다는 점을 고려하면 앞으로도 큰 물리적 충돌이 없는 평화적인 분위기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국민대책회의는 20일까지 정부가 쇠고기 협상 무효화 및 전면 재협상에 나서라고 공식 선언한 상태여서 다음주까지 정부의 실질적인 움직임이 없을 경우 다시 촛불이 거세게 타오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노동계의 파업 움직임도 심상치 않아 화물연대가 13일부터 집단 운송거부에 들어가기로 결의한데 이어 민주노총도 14일까지 총파업 결의를 위한 투표를 실시하고 총파업 돌입시기를 저울질하고 있다.

촛불집회가 노동계 등의 투쟁과 맞물려 자칫 장기화 국면에 접어드는 게 아닌가 하는 우려가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와 관련, 일각에서는 심각한 위기상황을 인식하고 있는 이명박 대통령이 민심수습을 위한 획기적인 국정쇄신안을 내놓고 재협상을 적극 시도할 경우 촛불정국이 서서히 사그라질 수도 있다는 조심스런 전망을 내놓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전의경들이 연일 동원되고 피로가 누적되고 있어 각종 사고 위험도 크다"며 "경찰 자체 대응으로는 문제 해결이 어려운 만큼 정부 차원의 해결책이 빨리 제시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장하나 기자 hanajjang@yna.co.kr